세계 최대 주주 중 한 곳 "지분 희석·CEO 리스크 우려"
테슬라 주총 앞두고 파장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노르웨이의 2조 달러 규모 국부펀드가 이번 주 열리는 테슬라 주주총회에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1조 달러 보상안'에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밝혔다.
이는 테슬라 경영진의 찬성 권고를 거스르는 결정으로, 머스크가 "안건이 부결되면 CEO직에서 물러날 수 있다"고 압박한 가운데 나온 조치라 더욱 주목된다.
![]() |
|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 [사진=블룸버그] |
◆ "보상 규모 지나치게 커… 핵심인물 리스크도 고려 안 돼"
테슬라의 주요 주주이자 세계 최대 국부펀드를 운용하는 노르웨이 중앙은행 산하 투자운용기관(NBIM)은 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머스크의 보상 패키지에 대해 이미 반대표를 행사했다"고 밝혔다.
NBIM은 "머스크의 비전과 리더십이 테슬라의 성장에 크게 기여한 점은 인정하지만, 보상 규모가 지나치게 크고 지분 희석(dilution) 위험이 있으며, CEO 개인 리스크에 대한 보완 장치가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테슬라와는 이번 사안을 포함해 건설적인 대화를 이어갈 것"이라며, "이번 결정은 경영진 보상에 대한 우리의 일관된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NBIM은 올해 6월 기준 테슬라 지분 1.1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1183억 노르웨이 크로네(약 116억 달러, 한화 약 15조8000억 원) 규모로 평가된다.
◆ 테슬라 이사회 "머스크에 최대 1조 달러 주식 보상"
테슬라 이사회는 머스크에게 최대 1조 달러 규모의 주식 보상과 의결권 확대를 허용하는 안건을 상정했다. 이 보상은 향후 10년간 테슬라가 특정 실적 목표를 달성할 경우에만 전량 지급된다.
하지만 이번 제안은 "과도하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노조 및 시민단체 연합체 '테이크 백 테슬라(Take Back Tesla)'는 지난달 주주들에게 해당 안건을 거부할 것을 촉구했고, 의결권 자문사 ISS(인스티튜셔널 셰어홀더 서비스)와 글래스루이스(Glass Lewis) 역시 "반대표를 권고"했다.
이에 머스크는 분석가들과의 통화에서 두 기관을 "기업 테러리스트(corporate terrorists)"라고 비난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X(옛 트위터)에 "테슬라는 다른 모든 자동차회사를 합친 것보다 가치가 높다"며 "그런데 그 CEO들 중 누구에게 테슬라를 맡기고 싶은가? 나로선 아니다"라고 적었다.
◆과거에도 NBIM과 충돌… "친구는 행동으로 증명한다"
NBIM과 머스크의 갈등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NBIM은 미국 법원 판결로 무효화됐던 머스크의 560억 달러 보상안 복원 안건에도 반대표를 던진 바 있다. 당시에도 주주총회는 찬성으로 통과됐지만, 이후 노르웨이 일간지 E24와 파이낸셜타임스(FT)가 공개한 문자메시지에 따르면, 머스크는 NBIM 최고경영자 니콜라이 탕겐의 저녁 초대 요청을 거절하며 불편한 감정을 드러냈다.
머스크는 "내가 부탁하는 일은 거의 없는데 거절당했다면, 당신이 뭔가로 갚기 전까지는 다시 부탁하지 말라"며 "친구란 행동으로 보여주는 법"이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 세계 1위 부자 머스크, 또다시 논란 중심에
머스크는 현재 순자산 5041억 달러로, 포브스가 집계한 세계 1위 부자다. 그의 초대형 보상안을 둘러싼 논란은 "성과주의를 넘어선 CEO 특혜"라는 비판과 함께 테슬라의 지배구조 투명성과 주주 견제 기능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를 낳고 있다.
테슬라 주가는 이날 개장 전 프리마켓에서 2.5% 하락했다.
koinw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