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방문 등 빠짐없이 수행 눈길
"김여정·현송월의 직속상관인 셈"
한국 측 현수막 제거 주장한 강경파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주창일(64)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장이 최근 들어 김정은을 단골 수행하면서 최측근 실세로 부상하고 있다.
뉴스핌이 20일 북한 관영매체의 김정은(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 동정 관련 보도를 분석한 결과 주창일은 이달 들어 김정은의 주요 공개행사에 거의 빠짐없이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장인 주창일이 최근 김정은의 최측근 실세로 떠오르며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지난 9월 9일 북한 정권 수립 77주년을 맞아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국기게양 및 간부 선서식'에 참석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바로 뒤에서 수행하는 주창일(김정은 오른쪽 수첩 든 인물) 선전선동부장.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0 yjlee@newspim.com |
지난 10일 밤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한 주창일은 행사 직전 김정은이 목란관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초청해 마련한 '국가연회' 헤드테이블에 자리했다.
박태성 총리, 최용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최선희 외무상 등 김정은 체제의 최고실세들과 나란히 앉은 것이다.
주창일의 존재감이 확연히 드러난 건 지난 9월 3일 베이징 텐안먼(天安門)광장에서 진행된 중국 전승절 80주 행사 참석을 위한 김정은의 중국 방문에서다.
당시 영상을 분석해보면 김정은을 수행한 고위 간부는 10명(김주애 제외) 정도로 파악되는데, 그 가운데 주창일을 포함해 당 선전선동부 멤버만 4명이었다.
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 수행비서 역할을 도맡아 하는 현송월과 김병호 등 부부장 3명이 모두 선전선동부 소속이다.
![]() |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고 지난 9월 5일 평양역으로 귀환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간부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김용수 노동당 재정경리부장, 김재룡 당 규율조사부장, 김덕훈 경제부장, 김정은, 딸 주애, 최선희 외무상, 조용원 조직지도부장 겸 비서, 김성남 국제부장, 주창일 선전선동부장.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0 yjlee@newspim.com |
대북정보 관계자는 "주창일은 조직 구조상으로는 김여정의 직속 상관인 셈"이라며 "주창일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에서 상당 수 선전선동부 핵심 멤버가 김정은 방중에 총출동한 것"이라고 말했다.
주창일은 방중 귀환 직후인 9월 9일 평양에서 열린 정권수립 77주년 '국기 게양 및 간부 선서' 행사에서는 조용원 당 조직지도부장과 박태성 총리, 군부 실세인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등을 제치고 김정은 바로 뒤에서 수행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주창일은 김정은이 참석한 낙원군 바닷가양신사업소 준공식에서 '당 정치국 후보위원 겸 당 부장' 자격으로 준공사를 했고, 구성시 병원건설현장(9월 8일), 평양종합병원 방문(9월 23일) 등에서 조용원 조직비서 다음으로 북한 관영매체에 의해 거명됐다.
김일성대 부총장을 지낸 주창일은 출신 배경이나 이력 등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아 베일에 싸인 인물로 분류된다.
통일부의 '북한 주요 인물정보' 사이트에도 2023년 1월 당 정치국 후보위원 선전선동부장에 임명된 사실만 올라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지난 2013년 김일성대 부총장 자격으로 중국 연변에서 열린 두만강포럼에 참석했으나 행사장에 걸린 '한국고등교육재단' 현수막에서 내려달라고 요구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행사를 접고 귀환하는 등 경직된 강경파의 모습을 보여온 인물"이라고 귀띔했다.
![]() |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지난 6일 평양종합병원 준공식에 참석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수행하고 있는 주창일(붉은 원) 노동당 선전선동부장. 주창일의 바로 앞에 선전선동부 부부장 직함을 갖고 있는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보인다.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0 yjlee@newspim.com |
북한 권력 내에서 주창일을 비롯한 선전선동부의 존재감이 드러나는 것과 관련해 최근 들어 심상치 않은 민심을 누그러트리기 위한 선전선동과 사상교양에 초점을 맞추려는 움직임이란 해석이 나온다.
우크라이나전에 대규모 전투병력을 보낸 지 1년을 맞으면서 2000명의 전사자와 그 몇 배가 넘는 부상병이 생긴 데 따른 내부 불만과 동요, 식량난 등 경제적 어려움이 여전한 상황 등을 무마하려 선전선동 분야를 챙기고 있다는 얘기다.
통일부 관계자는 "김정은 집권 15년 동안 핵심 간부층의 부침이 이어지는 회전문식 인사가 이뤄져 왔다"며 "주창일도 김정은의 신임을 점차 얻어가면서 당 정치국 상무위원 진입 등을 겨냥한 입지 다지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당 선전선동 분야의 실세로 자리했던 리일환 당 비서가 올 초 권력 전면에서 사라지면서 그 공백을 틈탄 주창일의 존재감이 커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