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한국-스웨덴 지속가능 파트너십 서밋' 개최
탄소중립·해상풍력·전력망 분야 MOU 체결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가 11년 만에 한국을 찾아 양국 간 친환경 협력의 새 장을 열었다. 양국은 탄소중립 기술개발, 해상풍력, 전력망 등 세 분야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지속가능 성장의 이정표를 세웠다.
한국무역협회가 16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비즈니스 스웨덴과 공동으로 '한국-스웨덴 지속가능 파트너십 서밋'을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 이번 행사는 지난 2019년 스웨덴 총리 방한을 계기로 체결된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양국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연례 교류 행사다. 비즈니스 스웨덴은 스웨덴 외교부와 해외투자협회가 지분을 보유한 무역투자진흥기구다.
![]() |
한국무역협회(KITA)가 16일 서울시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비즈니스 스웨덴과 공동으로 개최한 '한국-스웨덴 지속가능 파트너십 서밋'에서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가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무역협회] |
11년 만에 방한한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를 비롯해 다니엘 왕자, 마리아 말메르 스테네가르드 외교부 장관, 안드레아스 칼손 국토주택 장관 등 정부 관계자와 아스트라제네카, 헥시콘, 에릭슨, 아틀라스콥코, 볼보트럭, 샨풀넥스트 등 스웨덴 주요 기업 14개 사가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이인호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을 비롯해 삼성전자, 삼성SDI, SK텔레콤, 포스코인터내셔널,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등 100여 개 기업 관계자가 함께했다.
올해 서밋의 주제는 빅토리아 왕세녀의 제안으로 정해진 '지속가능성'이다. 이는 기존 디지털경제, 미래 모빌리티, 전략산업 중심의 협력 의제에서 친환경·기후 대응 중심으로 방향을 확대한 것이다. 안드레아스 칼손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지속가능 성장을 위해서는 국경을 넘는 혁신과 연대가 필수적"이라며 "반도체, 배터리, 조선 분야에서 세계 최고 역량을 가진 한국 기업과 협력해 함께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스웨덴 기업들은 해상풍력, 소형모듈원전(SMR), 친환경 포장 등 주요 기술을 소개하며 구체적인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양국은 탄소중립 에너지 기술 공동연구 허브 설립, 해상풍력 구조물 개발, 초고압 직류송전 프로젝트 추진 등 실질적 협력을 담은 3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한국무역협회(KITA)가 16일 서울시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비즈니스 스웨덴과 공동으로 개최한 '한국-스웨덴 지속가능 파트너십 서밋'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한국무역협회 이인호 부회장, 산업통상부 문신학 차관, 스웨덴 다니엘 왕자, 스웨덴 빅토리아 왕세녀) [사진=무역협회] |
세부적으로 ▲스웨덴국립연구원(RISE)-한국에너지공대(KENTECH)-나주시 간 탄소중립 에너지기술 공동연구 허브 구축 및 전력반도체 협력, ▲헥시콘-SK오션플랜트의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 공동개발, ▲히타치에너지-HD현대일렉트릭의 미래 전력망 솔루션 협력이 포함됐다.
이인호 무역협회 부회장은 "이번 행사는 기후위기와 통상환경 불확실성 속에서 양국 협력을 전통 제조업에서 친환경·바이오 등 신산업으로 확장한 데 의미가 있다"며 "스웨덴의 비전과 한국의 기술력을 결합해 기후위기 대응과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