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등 7개 시군 환경개선 추진
주민 소득증대 및 환경 기여 전망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2026년도 낙동강수계 특별주민지원사업에서 7개 시군 8개 생활환경 개선 및 탄소중립 실현 사업으로 24억 2900만 원을 확보했다고 14일 밝혔다.
낙동강수계 특별주민지원사업은 '낙동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상수원관리지역으로 지정돼 각종 행위제한을 받는 23개 시군을 대상으로 수질개선과 주민 생활환경 개선 효과가 높은 사업을 지원한다.
도는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과 선정위원회 대비 사전 컨설팅 등 맞춤형 공모 대응을 통해 예산을 확보했다.
![]() |
사천시 물빛여가공원 조성사업 [사진=경남도] 2025.10.14 |
사천시는 '물빛여가공원 2차 조성사업'에 7억 원을 확보했다. 지난 2023년 1차 준공 후 주민들의 호응을 얻었으며, 이번 2차 조성에서는 태양광발전설비와 빗물저장시설 등 친환경 설비를 추가로 설치해 주민복지와 친환경 여가 환경을 확충한다.
진주시는 '수곡면 재해취약지구 재해복구사업'을 추진한다. 집중호우 시 반복되는 침수 피해로 어려움을 겪던 딸기 농가를 위해 간이 배수펌프장을 설치, 홍수 피해 예방과 동시에 농가 소득 유지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양산시는 '대리버섯재배단지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사업'으로 폐건물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 생산 전력을 한전에 판매해 수익을 창출한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에서 농가 소득을 보완하는 방안이다.
합천군은 '댐주변 내·외 재해복구사업'을 통해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범람과 저지대 농경지 침수를 막기 위해 마을 하천과 배수시설을 정비한다. 재해 예방과 생활환경 개선을 동시에 이루는 사업이다.
하동군은 '옥종 딸기가공지원센터'를 조성한다. 2025~2026년 2개 연차에 걸쳐 추진되며, 딸기를 가공해 부가가치를 높여 농가 소득을 증대하는 지역 숙원사업이다.
수질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는 가정용 정화조 분뇨수거비 지원이 있으며, 합천군·산청군·거창군이 대상에 포함됐다. 해당 사업은 환경 오염을 줄이고 깨끗한 수자원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승효 경남도 수질관리과장은 "이번 특별지원사업은 주민의 소득증대와 복지향상뿐 아니라 수질개선과 탄소중립 실현에도 의미가 크다"며 "향후 민·관 협력을 통해 지역여건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지속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지난 2007년부터 총 461억 원의 특별주민지원사업비를 확보해 지역별 맞춤형 소득증대, 복지증진, 환경개선사업을 꾸준히 추진해오고 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