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인정한 생물다양성 보고"…2026년 부산서 최종 결론
[여수=뉴스핌] 권차열 기자 =여자만 여수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한 핵심 관문인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현장실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전남 여수시는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1일까지 진행된 '한국의 갯벌 2단계 확대 등재 신청' 현장 점검이 순조롭게 마무리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실사는 국가유산청과 해양수산부가 공동으로 추진한 것으로 여수갯벌을 비롯해 전남 무안·고흥, 충남 서산 등 총 4개 지자체 갯벌이 등재 대상에 포함됐다. 특히 여자만 여수갯벌은 광범위한 생태적 가치와 체계적 관리 현황을 국제 전문가들로부터 집중 평가받았다.
현장실사는 IUCN 전문가 바스티안 베르츠키(Bastian Bertzky)와 테레스 싱 베인스(Taras Singh Bains)가 직접 수행했다. 두 전문가는 여수 여자도와 봉전리 갯벌을 차례로 살펴보며 갯벌의 생물다양성, 법정보호종·멸종위기종 서식 현황, 관리 체계의 실효성을 집중 점검했다.
![]() |
IUCN 전문가가 여자도와 봉전리 갯벌에서 현장 브리핑을 듣고 있다 [사진=여수시] 2025.10.02 chadol999@newspim.com |
여수시는 이 과정에서 지역환경운동연합·전문가 그룹·관계기관과 협력해 국제적 보편적 가치(OUV)를 입증하고 체계적 보전 정책과 지속 가능한 이용 가능성을 강조했다.
유산구역 3881㏊, 완충구역 1만2581㏊ 규모를 갖춘 여수갯벌은 멸종위기 조류 9종, 도요물떼새 15종 등 총 53종의 물새가 서식한다. 더불어 저서규조류 51종, 해조류 5종, 염생식물 37종, 대형저서동물 362종, 어류 21종, 해양포유류 1종 등 다양한 생물군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철새의 중간 기착지로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EAAF)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국제사회가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번 현장실사 결과는 서류심사와 전문가 패널 검토를 거쳐 종합 의제로 상정되며 최종 결과는 2026년 7월 부산에서 열리는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여수시 관계자는 "여수갯벌이 세계가 인정하는 자연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번 등재 추진이 지역 생태관광 발전과 국제적 보전정책 강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오른 "한국의 갯벌 1단계'는 서천·고창·보성-순천 갯벌이 등재됐다. 이번 2단계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보다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새롭게 여수·무안·고흥·서산 갯벌이 추가됐다. 또한 기존 유산에는 물새 이동 경로와 생태 연결성을 고려해 완충구역이 확대됐다.
chadol9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