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의 주요 예측시장에서 오는 10월 1일(현지시간) 연방정부가 셧다운(shut down·일시적 업무정지)에 돌입할 가능성이 70% 넘게 치솟았다.
미 동부시간으로 29일(현지시간) 저녁 8시 7분(한국시간 30일 오전 9시 7분) 기준, 달러 기반의 예측시장 플랫폼 칼쉬(Kalshi)에 따르면 2025년 회계연도 예산안이 만료되는 내달 1일에 연방정부가 셧다운 될 가능성은 74%다. 암호화폐 기반 플랫폼 폴리마켓에서는 76% 확률을 나타내고 있다.
![]() |
미국 연방 의회 의사당 건물. [사진=로이터 뉴스핌] |
전날까지만 해도 두 예측시장 플랫폼에서 셧다운 베팅률은 50% 수준이었으나, 의회 협상에 진전이 없었고 미 노동부가 셧다운 발생 시 이번 주 금요일(10월 3일) 발표할 예정이던 월간 고용보고서 발표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시장 불안감이 커진 결과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상·하원 지도부는 백악관 회동을 했지만 합의에 이르진 못했다. JD 밴스 부통령은 "우리가 셧다운으로 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존 튠(공화·사우스다코타) 상원 공화당 대표는 30일에 셧다운을 피하기 위한 7주 짜리 단기 지출법안(CR·임시예산안) 재표결을 추진한다고 밝혔지만, 민주당은 오바마케어(Affordable Care Act·ACA) 건강보험 보조금 지급 연장 등 복지 관련 예산을 추가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어 통과될 지 미지수다. 공화당은 상원에서 53석을 갖춘 다수당이지만, 예산안 통과에는 60표가 필요하다.
민주당 내 일각에서는 일단 셧다운은 피하고, 협상 시간을 벌자며 7주 보다 짧은 7~10일 초단기 임시예산안 아이디어를 내놨지만, 척 슈머 민주당 원내대표가 반대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의회가 30일 임시예산안을 처리하지 않는다면 셧다운이다. 비필수 서비스 중단, 공무원 무급휴직, 국립공원 폐쇄 등 큰 파장이 예상된다. 경제적 파장은 셧다운의 길이에 따라 확대될 수 있는데, 금융시장·투자심리 뿐 아니라 정부 통계 공백까지 우려되고 있다.
그간 미국 정부 셧다운은 1~2일 동안 짧았던 게 대부분이다. 최장 기간은 트럼프 1기 때 35일(2018년 12월 22일~2019년 1월 25일)로,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에 수십 억 달러 예산을 요구하면서 민주당과 첨예하게 대치했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셧다운 기간에 공무원 대거 해고를 계획 중이란 소식도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각 부처에 셧다운 대비 '대규모 감원(대량 해고)' 준비를 지시했으며, 과거 셧다운 시 시행됐던 '일시 해고(furlough)' 방침과 달리, 행정부가 실제로 대량 해고에 나설 수 있단 관측이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