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이 중국의 희토류 시장 지배력에 대응하고 자체 희토류 생산 촉진을 위해 가격 하한선 설정과 일부 중국산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소식통 4명을 인용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희토류는 휴대전화, 자동차, 첨단 무기 등 제조에 필수적인 금속 원소로, 중국은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G7은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가 희토류 자석부터 배터리 금속에 이르기까지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다.
이에 G7 정상들은 지난 6월 '핵심 광물 행동계획(Critical Minerals Action Plan)'을 출범시켰으며, 이달 초 시카고에서 실무진 회의를 열고 중국 의존 탈피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논의의 초점은 기업들이 중국으로 가지 않도록 외국인투자 규제를 강화할지 여부였다"며 "중국과 정면으로 맞설지는 불확실했다"고 말했다. 당시 회의에는 호주도 참여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지리적 제한을 두는 방안도 거론됐지만, G7 내 이견이 있었다"고 전했다. 지리적 제한은 특정 국가(중국 등)로부터의 조달을 공공 입찰에서 제한하거나 현지 조달 비율을 의무화하는 조치 등을 의미한다.
또 다른 두 소식통은 G7이 중국산 희토류 및 일부 소량 금속의 생산 과정에서 사용된 비재생 에너지 비율에 따라 '탄소세 또는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논의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한 고위 관리는 로이터에 미국이 중국의 희토류 덤핑을 막기 위해 현재 G7, EU와 관세, 가격 하한선, 기타 무역조치를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호주도 희토류를 포함한 핵심 광물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별도의 가격 하한선을 추진 중이다. 캐나다는 이 아이디어에 우호적 입장을 보였지만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은 상태다.
한 EU 관계자는 "가격 하한선, 공동구매, 상호협정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아직 구체적 결론은 없다"고 말했다.
![]() |
희토류 광석 [사진=블룸버그] |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