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분야 국제 기준 충족 여부 심사, 스웨덴 등 참여
10월 중순 재공인 발표, 11월 13일 선포식 예정
[김해=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김해시는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예정된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본실사를 앞두고 막바지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심사는 김해시가 지난 5년간 추진해 온 생활 속 안전정책 성과를 국제 기준에 따라 평가받는 자리다.
![]() |
지난 6월30일 오전 경남 김해시청 제2청사 중회의실에서 열린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1차 현지실사 [사진=김해시] 2025.09.12 |
국제안전도시는 1989년 WHO 협력센터가 제창한 개념으로, 지역사회가 사고와 손상을 줄이고 안전을 증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현재 전 세계 33개국 441개 도시가 공인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는 김해를 포함해 31개 도시가 지정돼 있다.
이번 본실사에서는 ▲총괄보고 ▲손상감시체계 ▲교통안전 ▲자살예방 ▲노인 낙상예방 ▲폭력 및 범죄예방 ▲우수사례 등 7개 분야에 걸쳐 국제 기준 충족 여부가 심사된다. 심사는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ISCCC) 주관으로 스웨덴·일본·중국 국적의 해외 위원이 온라인으로 참여해 진행한다.
시는 앞서 지난 6월 30일 진행된 1차 현지실사에서 "우수한 인적자원과 인프라 활용이 인상적"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일부 통계자료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즉시 보완 작업에 착수했다. 시는 이번 본실사에 보다 완성도 높은 자료와 대응체계를 갖춰 성과를 검증받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지난 5년 동안 교통, 범죄, 자살, 낙상, 재난, 산업안전 등 전 분야에 걸쳐 안전증진사업을 추진해왔다.
교통 분야에서는 어린이 교통안전용품 배부, 전동휠체어 사고 예방 '안전실버커버' 보급, 보행사고 예방 스티커, 우회전 일시정지 반사경을 설치했다.
범죄예방에서는 여성 1인 가구에 휴대용 비상벨을 보급하고 '양심-keeper' 무인점포 절도 예방시스템, 골목길 태양광 센서등, 불법 촬영 방지 반사경 등을 운영했다.
자살예방에서는 번개탄 보관함 설치와 다중이용시설 위기상담 안내 표지를 확대하고, 고위험군 맞춤 관리 시스템을 강화했다.
노인 낙상예방 운동교실 운영, 재난취약시설 숨마스크 보급, 침수지역 우수받이 표지판 설치, 장애인 대상 소화용구 지원 등 맞춤형 재난안전 대책도 병행했다.
김해시 안전도시실무위원회와 2021년 설립된 안전도시연구센터가 재공인 과정의 핵심 역할을 맡았다. 실무위원회는 경찰·소방·보건·복지·시민단체 등이 참여해 신규 안전증진사업 발굴을 주도했고, 연구센터는 손상감시체계 운영과 지역안전지수 분석, 장기 전략 수립 등 안전 정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다.
재공인 여부는 오는 10월 중순 발표되며, 확정 시 김해시는 11월 13일 재공인 선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선포식에는 일본 마츠바라시 시장 등 국내외 인사가 참석해 국제안전도시 위상을 공유한다.
시 관계자는 "재공인은 단순한 인증을 넘어 시민이 체감하는 안전 수준을 높이는 계기"라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안전하고 행복한 김해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