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각지대 해소·불법사금융 예방
연 9.9% 금리, 최대 100만원 지원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오는 27일부터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금융상품 '경남동행론'의 두 번째 상품을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상품은 서민금융진흥원이 직접 대출하는 구조로, 연체자와 무소득자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해 금융 사각지대 해소와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을 목표로 한다.
![]() |
경남도가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연체자와 무소득자를 지원하기 위한 '경남동행론' 두 번째 대출 상품을 출시한다. 사진은 경남도청 전경 [사진=뉴스핌DB] 2025.01.11 |
지난 6월 보증부 은행 대출 형태로 첫 선을 보인 '경남동행론'은 신용 하위계층에게 금융 접근성을 제공했으나, 연체 이력이나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여전히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이에 도는 서민금융진흥원과 협력해 직접 대출 방식의 2차 상품을 마련했다.
지원 대상은 신용 하위 20% 이내,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 3개월 이상 도내 거주 만 19세 이상 도민이다. 대출 한도는 50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이며, 금리는 연 9.9%로 책정됐다. 상환 조건은 1년 만기 일시 상환이다.
특히 기존 서민금융진흥원의 불법사금융 예방상품은 연 15.9% 금리에서 성실 상환 시 9.9%까지 낮아지는 구조였으나, 이번 '경남동행론'은 처음부터 연 9.9%를 적용해 도민의 부담을 줄였다. 더불어 금융교육 이수자나 복지멤버십(맞춤형급여) 가입자에게는 0.5%포인트 추가 인하가 적용돼 최저 연 9.4%까지 가능하다.
신청은 '서민금융잇다' 모바일 앱을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가능하며, 창원·진주·거제 등 도내 3곳을 포함한 전국 50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 단, 방문 시 신분증 지참과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조현준 경남도 경제통상국장은 "연체자와 무소득자는 불법사금융에 노출되기 쉬운 금융 취약계층"이라며 "이번 상품은 금융 사각지대를 없애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경남동행론'은 경남도·시군·서민금융진흥원·금융기관이 협력해 전국 최초로 개발한 지역 맞춤형 서민금융상품으로, 국회와 금융위원회에서도 불법사금융 예방 우수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지난 6월 도입된 1차 보증부 은행 대출은 현재까지 2200여 명이 신청, 654명에게 약 10억 원이 지원됐다. 도는 내달 '경남동행론'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 향후 사업 운영에 반영할 계획이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