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기락 사회부장 = 막장 드라마는 TV리모컨을 지배한 전업 주부들만이 보는 방송 프로그램은 아니다. 방영시간이 평일 오전 외에 주말에 볼 수도 있고, 공중파가 아닌 지상파 방송에서도 볼 수 있다. 유튜브에도 하이라이트 장면이 24시간 넘쳐난다.
막장 드라마의 소재는 무궁무진하다. 불륜 소재부터 가족간의 갈등, 여기서 비롯된 범죄 등으로 방송 소재가 확대됐다. 막장 드라마를 보면 어느 순간 즐겁다가도, 또 어느 순간에는 화가 치밀어 오르기도 한다. 하지만 막장 드라마의 '절정'은 아무도 예상치 못한 '특유의 반전'이라고 할 수 있겠다.
![]() |
김기락 사회부장 |
최근 3대 특별검사 수사 중 김건희 여사 의혹 중 하나인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은 마치 막장 드라마의 한편을 보는 것 같다.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이 직접 참석한 '폴란드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에 동행하면서 호재성 뉴스로 이어졌다.
이후 삼부토건은 '윤석열 테마주'로 그해 5월부터 7월까지 두달 만에 5500원까지 주가가 치솟았고, 이후 300원대까지 급락했다. 김건희 모녀의 주식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라고 말한 며칠 후,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젤렌스카 우크라이나 여사를 만났는데 한 동안 회사 주가가 약 5.5배 급등한 것이다.
특검팀 수사의 핵심은 이 과정에서 이종호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의 관여 여부 등이다. 특검 출범 전 이복현 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4월 김 여사와 이종호 전 대표 등이 삼부토건 사건에 연루된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며칠 뒤 삼부토건 사건은 서울남부지검에 배당됐고, 특검이 수사에 나선 것이다.
특검이 이달 초부터 본격 수사한 결과, 이일준 삼부토건 회장과 이응근 전 삼부토건 대표이사가 지난 18일 구속됐다. 혐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적 부정거래) 등으로, 수년 동안의 의혹이 특검 출범 이후 일어난 '반전'이다. 이들 삼부토건 전·현직 경영진들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호재'를 이용해 주가조작으로 369억원의 시세차익을 챙겼다는 게 특검의 판단이다.
특히 이기훈 삼부토건 부회장 겸 웰바이오텍 회장은 지난 17일 이 회장과 이 대표이사와 함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을 예정이었으나, 출석하지 않았다.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지 않으면 심사를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피의자에게 매우 불리해진다.
문홍주 김건희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 회장이 심사 절차에 출석하지 않았고 도주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또 한번의 반전이 일어났다. 이기훈 회장이 최근 밀항을 시도한다는 첩보가 수사당국에 입수된 것으로 전해진 것이다.
좁디 좁은 대한민국에서 '도주'라니. 특검팀의 판단이 믿어지지 않으면서도, 이기훈 회장이 얼마나 급했으면 그랬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연속된 반전은 막장 드라마를 떠올리게 한다. 특검의 수사를 통해 오늘은 또 어떤 반전이 일어날지 궁금하다. 특검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모든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