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돌풍이 가상 아이돌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했다.
WSJ는 20일(현지시간)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 넷플릭스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계적 인기를 조명했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틸컷. [사진=넷플릭스] moonddo00@newspim.com |
WSJ는 "가상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결코 이루지 못한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초현실적"이라고 전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사자 보이즈' 멤버 미스터리의 보컬을 맡은 그룹 '유키스' 출신 케빈 우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약 2000만명에 달한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인기를 끌기 전까지만 해도 케빈 우의 청취자 수는 1만명에 그쳤다.
케빈 우는 WSJ에 "가상의 캐릭터를 연기하다 보니 굉장히 초현실적인 느낌이다. 사람들은 나를 케빈 우나 K팝 아티스트로 알아보지 못한다"고 전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노래 중 2곡은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에 오르기도 했다. WSJ는 BTS나 블랙핑크 같은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전했다.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틸컷. [사진=넷플릭스] oks34@newspim.com |
케데헌에 나오는 노래 중 두곡은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를 차지했다. 이는 BTS, 블랙핑크 등 어떤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WSJ은 전했다.
그러나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현실의 아이돌보다 더 큰 인기를 얻게 되자 K팝은 물론 음악 산업 전반이 기존 틀을 벗어난,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참여자들과 대결해야 한다고 WSJ는 지적했다.
K팝 연구자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김석영 교수는 "케데헌의 성공은 팬들이 비인간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모방작들을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김교수는 "이건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다. 여기엔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들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K팝 프로듀서 겸 작곡가 베니 차는 인간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AI 가수와도 작업한 경험이 있는 그는 "진짜 아티스트들이 보여주는 취약성, 화학 작용, 예측 불가능성은 만들어낼 수 없다"고 말했다.
moondd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