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검(특별검사)'이 18일 황기석 전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을 소환했다.
특검은 이날 오후 2시께부터 황 전 본부장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특검은 황 전 본부장을 상대로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소방청으로부터 일부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 |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뉴스핌DB] |
해당 의혹과 관련해 특검은 전날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주거지와 소방청장·차장 집무실, 서울소방재난본부, 서울경찰청 경비부 등 9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전후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를 받고 경향신문, 한겨레, MBC, JTBC, 여론조사 꽃에 대한 봉쇄 및 소방청을 통한 단전·단수를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이에 대해 이 전 장관은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관련 문건을 봤지만 문건을 건네받은 적이 없고, 행안부 장관에게 소방청장에 대한 지휘 권한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아울러 특검은 비상계엄 직후 행안부가 국회와 대통령실 인근에 재난안전통신망을 설치한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이날 오전부터 행안부 소속 주무관 A씨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재난안전통신망 이동기지국 차량은 군·경·소방 등 기관이 함께 쓸 수 있는 통신망으로, 특정 지역의 통신이 불안정할 경우 관련 기관 요청을 받아 운영된다.
행안부는 서울경찰청 요청을 받아 지난해 12월4일 새벽 국회와 대통령실 인근에 재난안전통신망 이동기지국 차량 여러 대를 배치했고, 해당 차량들은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안이 가결된 이후에도 현장에 대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선 경찰이 국회 통신을 차단하고 군과 소통하기 위해 요청하고, 추가 계엄에 대비해 대기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