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물량 절벽… 내림세 지속
감소세 큰 지역 중심의 맞춤형 재정 지원 필요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건설경기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심각한 부진을 겪고 있다. 착공면적이 크게 줄면서 전후방 연계 산업으로의 파급효과도 매우 큰 수준이다.
![]() |
(위) 2022년〜2025년 5월 전국 지역별 건축착공면적 추이 (아래) 2021년 대비 2024년 지역별 착공면적 증감률. [자료=대한건설정책연구원] |
7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하 '건정연')에 따르면 올 5월 기준 전국 착공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20.7% 줄었다.
2021년 1억3530㎡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18.1%, 2023년 -31.7%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18.6% 뛰면서 국면이 전환됐으나, 여전히 2021년 착공면적의 66.4% 수준에 그친다.
건축 착공면적은 건설공사의 실질적인 시작을 의미해 중요성이 크다. 건설경기를 판단하는 선행지표의 성격과 동행지표의 특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건설시장 내 기업간, 지역간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착공면적 역시 지역별로 차별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 부산, 대전, 인천 착공면적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62.1%, 28.2%, 7.6% 증가했다. 반면 8개 도 지역을 중심으로 감소세가 심화됐다. 세종(-60.7%) 경북(-49.4%) 전남 (-48.4%) 경남(-46.8%) 경기(-44.8%) 전북(-43.0%) 등은 40% 이상 줄었다.
건정연은 착공물량이 크게 줄어든 지역을 중심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투입이 시급한 시점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박선구 건정연 경제금융연구실장은 "장기간 이어진 부진으로 인해 건설경기가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저해하고 있다"며 "공사비 상승률 등을 감안할 때 지역 SOC(사회기반시설) 투자에 많은 비중을 할애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 정부는 경기진작과 민생안정을 위해 30조5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발표했다. 대다수의 지자체 역시 추경을 확정하거나 준비 중이다.
박 실장은 "착공물량이 감소한 지역에 정부와 지자체의 재정 투입이 우선돼야 한다"며 "지방 도 지역은 경제활력 저하와 일자리 감소로 지역 소멸 위기를 직면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