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 올 상반기 수주 계약만 10건
에스티젠바이오 수주 금액 140억 돌파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동아쏘시오그룹 자회사인 에스티팜과 에스티젠바이오가 올해 들어 잇따라 수주 성과를 내며 실적 반등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그룹이 신약 개발과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확장을 위해 전략적으로 육성해 온 두 회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나란히 입지를 확대해가며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에스티팜은 올해 들어 총 9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올리고) 원료의약품과 2건의 저분자 신약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총 10여건이 넘는 수주 계약 성과를 따내며 회사의 수주잔고는 4400억원을 돌파했다. 전년 대비 91%를 넘어선 수치로 올해 역대 최고 수주잔고를 달성할 전망이다.
![]() |
에스티팜 반월 전경 [사진=에스티팜] |
에스티팜은 올 상반기 올리고 원료의약품 분야에서 큰 성과를 냈다. 올리고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 8건과 올리고 신약 CDMO 계약 1건 등 총 9건을 따냈다. 특히 고객사의 신약들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거나 승인을 앞두고 있어 수주 물량은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6월 FDA 승인을 받은 미국 제론의 혈액암 치료제 '라이텔로'가 있으며 상업화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에스티팜의 2분기 올리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성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회사가 원료를 공급 중인 아이오니스의 유전성혈관부종치료제 '도니달로센' 또한 오는 8월 FDA로부터 상업화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 중 유럽 글로벌제약사의 미토콘드리아결핍증후군 치료제도 상업화 승인을 받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어 에스티팜이 원료를 공급하는 신약은 지난해 4개에서 올해 7개로 증가할 예정이다.
올해 들어 에스티팜의 수주 계약이 급증한 것은 기초 단계에 머물던 고객사 신약 개발이 속도를 내며 3상 진입과 상업화가 잇따르고, 4분기 제2올리고동 가동을 앞둔 효과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해외 학회와 컨퍼런스 참석 기회가 많아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가 확대된 영향도 있다"며 "제2올리고동의 경우 소량 생산이 가능한 라인이 배치될 예정으로 대량 생산 물량이나 상업화 제품 외에 기초 단위 임상도 수주가 가능해져 고객사의 임상이 진전될 수록 수주가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스티젠바이오 역시 올해 연이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에스티젠바이오는 지난 2일 글로벌제약사와 46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두 번째 계약으로, 지난달에 있었던 99억원 규모의 의약품 의탁생산 계약을 포함해 최근 수주 금액만 140억원을 넘어섰다.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에 주력하는 에스티젠바이오는 지난해 미국 FDA와 유럽 EMA 실사를 통과하며 글로벌 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입증했고, 이 여세를 몰아 수주 성과도 이어가고 있다.
아울러 관계사 동아에스티가 개발한 '이뮬도사'의 생산을 전담하며 그룹 내 전략적 생산기지로서 입지를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이뮬도사의 유럽향 상업화 매출이 발생하면서 회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4% 늘었다.
에스티젠바이오 관계자는 "바이오의약품 CDMO로 이름을 알린 대형 회사들과 비교했을 때 규모가 작긴 하지만, 이로 인해 노릴 수 있는 틈새시장을 공략하며 입지를 키워가고 있다"며 "이뮬도사 생산을 전담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회사의 경쟁력과 역량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생겼다"고 말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