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참여로 복지·문화예술·교육 정책 혁신
기존 의견 수렴 방식의 한계와 대안 모색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주요 정책 수립에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도민총회' 제도를 공식적으로 검토한다고 1일 밝혔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도정은 공무원이 아니라 도민이 주도해야 한다"며 "복지, 문화예술, 교육 등 주요 정책에 도민이 직접 토론하고 제안하는 구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
박완수 경남지사가 1일 오전 도청에서 열린 확대간부에서 도민 직접 참여를 통한 정책을 수립하는 이른바 '도민총회' 제도 도입 방안 마련을 지시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07.01 |
박 지사는 "모든 주체가 한자리에 모여 도정 방향과 예산 편성까지 논의하는 도민총회를 연 1~2회 정례화할 수 있다"며 기획조정실에 구체적 운영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그러면서 기존 의회나 기관단체장, 공청회 중심 의견수렴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진짜 도민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할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후 변화에 따른 폭염 대책도 논의됐다. 박 지사는 "유럽에서 40~47도까지 기온이 오르고 있다"며 온열질환자와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어르신, 거동 불편자, 노후 주거지 거주자 보호 방안 등 단순 매뉴얼을 넘는 대응을 강조했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 박 지사는 "해수부뿐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 대기업 본사까지 부산신항 주변에 집적시켜야 한다"며 신항·가덕신공항·배후 산업단지를 연결한 트라이포트 구축 필요성을 밝혔다. 북극 항로 개발에 맞춘 조선·금융·물류 인프라 집중 전략도 경남연구원이 주도할 것을 주문했다.
관광 분야에서는 남해안 중심 관광 인프라 확충과 리조트 투자 유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지사는 "리조트, 주거, 컨벤션, 카지노 등 기능별 배치에 장기적 계획이 필요하다"면서 스카이라인, 건물 디자인, 색채 등도 일관성 있게 관리하라고 지시했다. 난개발 방지를 위한 계획 개발과 광역도시계획 연계도 언급했다.
AI 산업은 제조업 고도화의 도구를 넘어 독립적 성장 엔진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박 지사는 "중앙정부가 AI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는 만큼, 경남도도 인프라 확보 전략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는 인공지능산업과 신설에 이어 AI 인재 양성, 데이터센터, 테스트베드 유치 등 종합 육성계획을 마련해 중앙정부와 협력할 계획이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