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IPTV 3사 전수 시청 데이터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
기존 시청률 통계 한계 넘어 3600만 가입자 파악 전망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KT와 SK브로드밴드(SK텔레콤 자회사), LG유플러스 IPTV 3사는 'IPTV 통합 시청데이터 플랫폼'을 공동으로 구축하며, 연내 정식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IPTV 통합 시청데이터 플랫폼'은 전국 17개 시도 가입자의 셋톱박스(STB) 시청 로그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도달자 수(10초 이상 시청한 가입자 수) ▲평균 시청 시간 ▲시청 시간 점유율 ▲도달률 등 기존 시청률 통계의 한계를 뛰어넘는 정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사진=뉴스핌 DB] |
기존 시청률 조사가 약 4000가구 패널 표본에 의존해 3600만 유료방송 가입자를 대표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던 만큼, IPTV 3사는 각 사의 전수 시청 데이터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해 데이터 신뢰도를 높일 전망이다.
한편, KT는 앞서 지난해 7월부터 미디어 시청데이터 기반 웹 플랫폼 운영을 시작했다. KT는 해당 플랫폼을 VOD, 실시간 채널의 시청 성과 분석과 편성 전략 수립에 활용해 왔다. 이어 AI 기반 시청률 예측 모델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채널 운영과 지역 채널 편성 등에서 연령, 성별, 지역별 시청자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국내 12개 홈쇼핑사와 상생 협약을 맺고 '지니 TV 쇼핑 인사이트(GSI)' 플랫폼을 만들었다. KT는 현재까지 실시간 시청 데이터를 제공 중이다. 홈쇼핑사들은 GSI를 활용해 상품 기획, 편성, 방송 제작, 마케팅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KT는 연내 챗봇 기반 AI 어시스턴트와 시청자 행동 예측 기능도 도입할 예정이다.
최광철 KT IPTV 사업본부장 상무는 "KT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디어 시청데이터를 보유한 만큼 이를 토대로 미디어와 광고산업의 혁신에 앞장서겠다"며 "AI 기술을 적극 활용해 중소 방송 사업자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yek10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