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동산 시장 '공품아' 상승세…시장 침체 속 평균 집값 상승률 크게 상회
광주, 부산 등 최초 국가도시공원 지정 준비 박차…'공품아' 주거 가치 더욱 관심
[서울=뉴스핌] 오경진 기자 = 올해 부동산 시장에서 대형 공원을 품은 아파트를 뜻하는 '공품아'의 상승세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지자체들이 전국 최초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한 움직임에 돌입하면서 '공품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미래 주거 트렌드'에 따르면 주거 선택 요인의 질문 중 공원이 가진 '쾌적성'을 선택한 비율이 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지난해 KB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가장 살고 싶은 주거 여건으로 '공원 및 자연환경이 우수한 곳'이 50.8%로 과반을 넘겼다.
이러한 높은 주거 선호도는 집값 상승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 경기 수원시 광교신도시 소재 'e편한세상 광교' 전용 119㎡ 실거래가는 17억 8,500만 원(7층)으로 작년 2월 실거래가 16억 1,000만 원(18층)보다 1억 7,500만 원(10.8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지는 바로 앞에 광교중앙공원이 자리한 것이 특징이다. 반면 같은 기간 경기 수원 전체 평균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4.7% 수준에 그쳤다.
이어 동탄신도시 대형 공원 동탄센트럴파크 바로 인근에 자리한 '푸른마을 포스코더샵 2차' 전용 84㎡의 올해 3월 실거래가는 6억 500만 원(28층)으로 전년 실거래가 5억 2,500만 원(28층)보다 8,000만 원(15.24%)이 올랐다. 같은 기간 경기 화성시 전체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률이 2.48%인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방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최대 민간 공원 '중앙근린공원' 인근에 자리한 서구 금호동 소재 '금호지구 대광로제비앙' 전용 84㎡의 올해 3월 실거래가는 4억 2,000만 원(5층)이었다. 지난해 3월 실거래가 3억 8,000만 원(9층)보다 4,000만 원(10.52%) 상승했다. 같은 기간 광주의 전체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는 최근 광주의 '중앙근린공원'이 전국 최초의 국가도시공원 유력 후보지로 떠오른 것이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도시공원은 지자체의 도시공원 중 국가가 기념사업 추진이나 역사 및 문화유산 등의 보전을 위해 지정하는 것으로, 지난 2016년 관련 법률이 통과됐다.
하지만 까다로운 지정 요건으로 지금까지 지정된 사례가 없었고,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 올해 국회는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 완화의 내용이 담긴 법률 개정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광주 중앙근린공원을 비롯해 부산 을숙도~맥도생태공원과 인천 소래습지, 대구 두류공원 등이 전국 최초 국가도시공원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
이처럼 올해 부동산 시장에서 '공품아'의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전국 유망 분양 단지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 |
[사진=중앙공원 롯데캐슬 시그니처] |
롯데건설은 광주광역시에서 '중앙공원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 중이다. 광주 최대 민간 공원 특례사업으로 추진되는 이 아파트는 광주 서구 금호동 일대에 위치하며, 전용 84~233㎡ 총 2,772세대 규모다. 단지 내 위치한 '중앙공원 1지구'는 광주광역시에서 추진 중인 총 9개 공원(10개 지구)의 민간 공원 특례사업 중 가장 큰 243만 5,516㎡ 규모로, 광주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에 걸쳐 조성된다. 8개 테마숲과 11개 마을숲으로 구성되며, 도심형 캠핑장, 정원 박람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들이 마련될 예정이다. 여기에 풍암호수를 중심으로 야외 공연장, 호수 백사장 등의 시설들도 구축된다. 특히 최근 전국 최초의 국가도시공원의 유력한 후보지로 '중앙근린공원'이 떠오르면서 더욱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ohz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