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분야 전문가의 통합 솔루션으로 복합위기 해결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복지재단은 정신질환·저장강박·알코올장애·가정폭력 등 공공 복지현장의 고난이도 위기 사례를 전문가가 직접 청취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복지현장 위기사례 대응 컨설팅'을 운영, 지난 4년간 총 335건의 컨설팅을 제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재단은 시민과 가까운 공공복지 현장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21년 4월부터 광역 단위 복지현장 컨설팅(온·오프라인) 사업을 진행 중이다.
![]() |
4월 23일 강동구 길동 주민센터에서 진행된 '찾아가는 현장 컨설팅'에서 전문가가 위기사례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
특히 '찾아가는 현장 컨설팅'은 복합적인 어려움을 가진 사례가 있는 현장을 다분야의 컨설턴트가 찾아가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인기를 끌고 있다. 복지현장 대응 컨설팅단은 15년 이상의 공무원 경력 사회복지직과 전문 지식을 갖춘 법률, 의료, 금융 분야 자문단 34명으로 구성돼 복지 위기사례에 전문적인 자문을 진행한다.
2024년에는 9개 자치구가 '찾아가는 현장 컨설팅'에 신청했으며, 총 27명의 컨설턴트가 현장을 방문해 솔루션을 제공했다. 재단은 올해부터 서울시 돌봄복지과와 함께 현장 수요에 맞춘 '찾아가는 현장 컨설팅'을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눠 진행할 예정이며, 상반기에는 4개 자치구에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 21일과 23일에는 노원구와 강동구를 방문해 초기 치매와 정신질환이 있는 모녀 가구에 대한 지원 방안과, 소통을 거부하는 초등자녀와 고립된 정신질환 어머니에 대한 개입 방안을 컨설팅했다. 5월에는 구로구와 은평구에 컨설팅을 제공하며, 하반기 접수 전에도 다분야 통합 솔루션이 필요한 위기 사례 발생 시 현장 컨설팅을 지원한다.
재단은 '찾아가는 현장 컨설팅' 외에도 자치구·동 주민센터의 실무자에게 '온라인 컨설팅'을 상시 제공 중이다. 공유복지플랫폼에서 언제나 신청 가능하며, 신청 후 3일 이내에 분야별 전문 컨설턴트의 답변을 받을 수 있다. 기본 단계에서 해결되지 않는 복잡한 사안은 추가 컨설팅 요청이 가능하며, 필요 시 현장 방문 컨설팅도 진행된다.
유연희 사회서비스지원센터장은 "고립은둔 가구의 증가·초고령사회 진입, 가족돌봄 청년 등으로 인해 새로운 복지 현안과 복합위기가 발생하고 있다"며 "혼자서는 해결하기 힘든 복지 현장의 위기사례를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