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기반에 현지 유통망 더해 글로벌 시장 타깃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유유제약이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반려동물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최근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실무 인력 채용에 나섰다. 회사의 의약품 제조 역량과 헬스케어 사업 경험을 토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려동물 시장의 틈새를 공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유유제약은 최근 반려동물사업부를 신설하고 관련 인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해당 부서는 반려동물 건강보조제품 등을 한국에서 개발·제조해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사진=유유제약] |
미국에서 반려동물 제품 브랜드 운영과 마케팅, 유통을 총괄하며 아마존과 자사몰, 소매유통 채널 등을 통해 브랜드 입지를 굳히겠다는 계획이다.
회사는 지난 9일 미국에 있는 동물용 신약 개발기업 '벳맙 바이오사이언시스(VETMAB BIOSCIENCES)'와 '반려견 전용 커뮤니티서비스인 '도그(DOG) PPL'에 총 12억 4000만원을 투자했다고 밝힌 바 있다.
벳맙은 미국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둔 회사로 개와 고양이를 위한 단일클론항체(mAb) 치료제를 개발하는 수의학 바이오제약 회사로 동물 건강 분야에서 수십 년간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유유제약은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을 충족하는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일반의약품부터 전문의약품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헬스케어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이같은 경험과 노하우를 반려동물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적용하고, 벳맙과 협력해 반려동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유제약은 사업 본격화에 앞서 지난달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반려동물 분야 전문가인 최강석 서울대 수의과대학 질병진단센터장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최 사외이사는 회사가 반려동물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자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동아제약과 동국제약, 대웅제약 등 국내 전통 제약사들이 수년 전부터 앞다퉈 반려동물 의약품 사업에 뛰어든 만큼 이미 시장은 포화 상태라는 우려도 나온다. 안국약품도 반려동물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지난달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을 변경하고 신사업 목적을 추가했다.
이에 유유제약은 국내를 넘어 미국 시장을 노릴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프레스던스리서치에 따르면 미국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132억 달러(약 17조 7천억 원) 규모로 평가되며, 2029년까지 연평균 5.2%의 성장률을 기록해 약 179억 달러(약 24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유유제약은 지난해 3분기 연속 호실적을 내며 수익성 증대를 이뤄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매출액 1331억원, 영업이익 116억원, 당기순이익 10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110% 증가한 수치다.
회사는 2023년까지 주력해 오던 안구건조증 치료제 후보물질이 미국 임상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확보하지 못하자, 개발을 중단하며 수익성 중심의 체질 개선에 주력했다. 다만 해당 후보물질의 적응증을 항염증 치료제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을 회복한 가운데 실현 가능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자 의약품 제조 역량과 헬스케어 사업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사업을 낙점한 것으로 보인다.
유유제약 관계자는 "최근 반려동물 사업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며 "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신사업 확장에 나선 만큼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