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만7744명에 12만6266회 발송
120명 피싱 사이트 접속...개인정보 등 탈취 피해
시스템 이용 불특정 다수에게 발송...광고 메일도 포함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방첩사령부 계엄 문건을 공개하거나 유명 가수 콘서트 티켓 초대장 지급을 사칭한 메일로 개인정보를 탈취하려고 한 북한 해킹조직의 시도가 경찰에 의해 적발됐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1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수본에서 지난해 12월 11일 '방첩사가 작성한 계엄 문건 공개'라는 제목으로 발송된 전자우편 사건을 수사한 결과 북한 해킹조직 소행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메일은 북한 해킹조직이 개인정보 탈취 목적으로 만들었으며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만7744명에게 30개 유형으로 총 12만6266회 발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신자 중 120명은 피싱 사이트에 접속한 후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계정정보 및 보관함에 저장된 전자우편과 연락처 정보를 탈취당하기도 했다. 금전 피해 등 추가 사례는 확인된 것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송에 쓰인 전자우편 주소는 공공기관을 연상케 하거나 지인의 전자우편 주소와 유사한 형태로 유명 사이트 주소에 몇 글자를 추가하거나 유사한 철자로 구성돼 있다.
국수본은 범행에 사용된 서버와 전자우편 등을 분석한 결과 ▲기존 북한발 사건서 파악된 서버 재사용 ▲사칭 전자우편 수신자가 통일·안보·국방·외교 분야 종사자 ▲IP 주소가 중국과 북한 접경지역에 할당된 점을 밝혀냈다.
![]() |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1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수본에서 지난해 12월 11일 '방첩사가 작성한 계엄 문건 공개'라는 제목으로 발송된 전자우편 사건을 수사한 결과 북한 해킹조직 소행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북한발 사칭 전자우편 우편 개요도 [자료=경찰청] |
전자우편을 조직적으로 보내기 위해 임대한 서버에서 탈북자와 군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북한식 어휘가 다수 확인된 점을 근거로 북한 소행으로 결론지었다. 북한 어휘 중에는 포트를 포구라는 어휘로 사용하거나 동작을 기동, 페이지를 페지라고 표현한 부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자우편 발송은 국내에 있는 해외업체 소유의 서버 15대를 임대한 뒤 자체 제작한 전자우편 발송용 프로그램을 통해 이뤄졌다. 프로그램은 전자우편이 발송된 시점부터 수신자의 열람 여부, 피싱 사이트 접속, 계정정보 획득 여부 등을 포함해 통계자료를 한눈에 파악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사칭 전자우편은 계엄 문건 공개 사례 뿐 아니라 북한 신년사 분석과 정세 전망으로 위장한 방식부터 유명가수 콘서트 관람권 초대장, 세금 환급, 오늘의 운세, 건강 정보 등을 제공할 것처럼 조작하기도 했다.
계엄 관련 문건은 54명에게 수신된 것으로 확인됐다. 계엄 문건 메일에는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하는 첨부파일을 포함시킨 구조다. 이외의 우편에는 링크가 포함돼 있으며 이를 누르면 로그인이 필요하다면서 포털 사이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피싱 사이트로 연결된다.
특히 경찰은 이번 사례는 과거와 달리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대량으로 메일을 발송한 부분이 다르고 대량 메일을 보내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앞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국은 2023년 11월에는 북한 해킹조직이 정부기관이나 언론사를 사칭한 이메일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가상자산을 탈취하는 범죄 사례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브리핑을 한 바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전에는 특정 타깃에 초점을 두고 신년사 등 북한 관련 내용을 보냈는데 이번에는 북한과 상관없는 내용을 대량으로 발송한게 다른 부분이다"며 "이전에는 수작업으로 내용을 만들었는데 지금은 대량 메일을 보내는 시스템으로 일종의 자동화가 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발송자가 불분명한 전자우편은 열람하지 않거나 첨부파일과 링크를 클릭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 중요정보를 입력하기 전에 요구자의 전자우편과 웹사이트 주소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이외에도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하면서 주기적으로 본인의 접속 이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해가 발생할 경우 포털 사이트에 2단계 인증을 걸도록 해 추가 피해를 예방하는게 필요하다고 경찰은 강조했다.
경찰 관계자는 "어떠한 유형의 사이버 공격에 대해서도 엄정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국내외 관계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굳건히 하고, 치안 역량을 총동원해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