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야(巨野) 당대표로서 尹 탄핵 이끌어
'최대 아킬레스건' 선거법 항소심 '무죄'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무주공산(無主空山)이 된 '용산'에 가장 가까운 인물은 단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다. 12.3 비상계엄 전후로 실시된 수많은 여론조사에서 여야를 통틀어 대선주자 1위로 꼽힌다. 모든 후보와의 양자대결에서도 우위다. 야권에서는 특히나 독보적이기에 '당내 경선'은 '프리패스'나 다름 없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 사실상 이 대표에게 '대통령 당선증'을 건넨 것이라고 해석하는 시각도 많다. 22대 국회에서 거야(巨野)의 당대표로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를 이끌었고, 결국 이뤄냈다는 점에서 그렇다.
야당 대표로서 '최대 성과'를 낸 이 대표가 '여의도 대통령'에서 이제는 '대통령'으로 불릴 날이 머지 않았다는 전망은 더는 소수의견이 아니게 됐다.
![]() |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달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을 나서고 있다. 2025.03.26 photo@newspim.com |
야권에서는 김부겸 전 총리,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지사 등이 후보군에 포함된다. 이들은 민주당 내 지지기반이 전무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명확하다. 이 대표를 제치고 다른 누군가가 야권 대선후보로 선출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이 대표와 대등하게 경쟁할 보수 후보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안철수 의원 등이 자천타천 거론된다. 한동훈 전 대표와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유승민 전 의원, 이준석 의원 등도 범여권 후보군이다.
김 장관은 고령, 오 시장과 홍 시장은 명태균 리스크, 안 의원 등은 지지 기반이 약하다는 단점이 뚜렷하다. 누구하나 자신있는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보수진영 주자들은 당내 경선이라는 혈투(血鬪)를 치른 뒤 대선을 치러야 해 집중력이 흐트러질 수밖에 없다.
무게추는 정권 교체로 기울어 있다. 조기대선에서 이 대표가 유리하다는 예측은 현직 대통령의 탄핵 이후부터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이 대표의 최대 아킬레스건으로 꼽혔던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이 무죄로 판결나면서 모든 족쇄를 풀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 대표는 이미 야권 대선후보로 확정된 수준인 만큼, 남은 60일의 준비기간을 '확장성'에 쏟을 수 있는 여유로움이 있다. 이 대표는 정권 심판론에 이어 중도표심을 얻기 위한 정책적 움직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 |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통과 후 발언을 하고 있다. 2024.12.04 leehs@newspim.com |
보수 진영 주자들은 경선에서는 보수의 가치를, 대선에서는 중도확장성 또는 통합을 외쳐야 하는 이중적인 상황이다. 자칫 빈약하고 급조한 논리로 경선을 치렀다간 세간의 냉정한 평가에 남은 정치적 생명이 오히려 끊길 수도 있다.
여러모로 야권, 다시말해 이 대표에게 기울어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인 이유다. 100m 육상 경기를 예로 들면, 다른 선수들과 달리, 이 대표 혼자만 50m 앞에서 출발하는 상황과 같다.
변수는 이 대표를 향한 '국민적 비호감'이다. 여권에서 가장 많이 기대하는 부분이 바로 '감정선'이다. 여권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더해 과거 욕설 논란, 말바꾸기, 태도 등 그의 부정적 이미지를 부각하며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문제 삼을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 탄핵에 따른 중도보수의 결집도 관전 포인트다.
야권에서도 과거 '사천 논란' 등 이 대표를 향한 불만의 불씨가 곳곳에 남아 있는 만큼 승리를 확정하기는 이르다는 평가도 나온다.
더욱이 국가적 혼란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으로부터 시작했다는 의견이 상당함에도 불구, 30차례에 이르는 민주당의 탄핵 남발 역시 잘못됐다는 비판 역시 적지 않다.
비상계엄 이전부터 민주당과 이 대표에 반감을 갖고 있는 중도층은 탄핵 이후에도 쉽게 이 대표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도 설득력이 있다.
결국 이번 조기대선이 '이재명 vs 000'이 아닌, '이재명 vs 반이재명' 구도로 치러질 것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righ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