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여전히 새로운 관세 부과 방식을 조율 중이며, 상호 관세 대신 보편적인 관세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만큼 상대국에 과세하는 상호 관세를 주장했으나, 최근 며칠 사이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팀에게 더 넓은 범위의 국가들에 대해 더 높은 세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세우도록 지시했다고 전해졌다.
트럼프 경제팀은 상호 관세를 적용할지, 아니면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보편 관세를 도입할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상호 관세는 미국 소비자 물가 급등을 막으면서도 무역 불균형을 해소할 방안으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케빈 해셋 위원장이 지지한 정책이다. 그러나 공화당이 의회에서 추진 중인 감세 법안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보편 관세도 최근 논의됐다는 전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문들은 사실상 모든 미국 무역 상대국에 대해 최대 20%의 일률적인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종 계획이 무엇이든,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크고 단순"하기를 원한다고 알려졌다. 이는 당초 '더티 15'(dirty 15, 주요 무역 불균형 15개국)에만 부과될 것으로 예상됐던 관세가 더 광범위한 국가들로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상호 관세 계획 외에도, 트럼프 팀은 중요한 광물과 이를 포함한 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 대한 새로운 산업별 관세 부과도 검토 중이다.
이러한 관세가 4월 2일에 공개될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4월 1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할 무역 정책 검토 문서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블룸버그] |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