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지난해 부산시 어업 총생산량이 72만 8000톤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6%(퍼센트) 증가, 생산금액은 2조 11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1%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원양어업 생산량은 47만 9398t, 해면양식 생산량은 4만 3397t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16.7%, 12.9% 증가했다. 반면 연근해어업(연안+근해어업) 생산량은 20만 4564t,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1451t으로 각각 전년 대비 14.4%, 39.3% 감소했다.
원양어업 생산량은 47만 9000t으로 전년 생산량(41.1만t)과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3.9만t)에 비해 각각 16.7%, 9.2% 증가했다.
![]() |
대형선망 조업 현장 [사진=부산시] 2025.03.13 |
대표적인 원양어업 어종인 가다랑어류의 경우 태평양 해역 어장 확대와 조업 횟수 증가에 따라 생산량이 전년 대비 23.5% 증가했다.
반면 선사들의 가다랑어 어획 집중에 따라 황다랑어와 눈다랑어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6.6%, 11.3% 감소했다.
해조류 양식(2024년 기준 99.6%) 중 김은 최근 겨울철 고수온에 따른 조기산 김 생산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0.3% 증가했으며, 미역과 다시마는 작황 호조에 따라 전년 대비 각각 17.7%, 35.8% 증가했다.
시는 양식수산물 생산 안정화를 위해 기반 시설(양식기자재, 활성처리제 등) 지원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양식 환경변화 대응력 강화를 위해 고수온 대응 지역 적합 양식품종 개발과 스마트양식 기술 연구 등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전년 대비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기상악화, 고수온 등으로 인한 자원량 변화, 어황 부진, 고유가가 지속함에 따라 출어 기피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고수온의 영향이 점점 확대되고 있어 연근해어업 어종인 고등어 9만 3542t, 전갱이류 2만 1635t, 멸치 1만 4762t 등은 감소했다.
반면 삼치류 1만 3064t, 정어리 5934t으로 전년 대비 각각 9.3%, 213.5% 증가했다.
내수면어업은 생산량 감소, 단가 하락 등으로 2024년 생산량은 총 1451t으로 전년(2390톤)에 비해 39.3% 감소, 최근 5년 평균 생산량(1777톤)보다는 18.4% 감소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왕우렁이 1092t ▲붕어 87t ▲잉어 66t ▲블루길 61t ▲가물치 53t 등이다.
대부분 어종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내수면 양식으로 생산되는 왕우렁이는 수요감소로 생산량이 전년 대비 43.4% 감소, 가물치는 8.2% 증가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