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기타

속보

더보기

1000원 밀크티 팔아 시총 24조원...中 미쉐빙청, 본격 글로벌 진출 시동

기사입력 : 2025년03월07일 14:59

최종수정 : 2025년03월07일 14:59

3일 홍콩증시 상장, 시가총액 25조원
점포수 4만6479곳, 맥도날드 제치고 세계 1위
동남아에 4800개 매장, 글로벌 진출 박차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에 미쉐빙청(蜜雪冰城)이라는 이름의 음료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생소할 수 있지만 중국내에서는 최대 점포수를 갖춘 음료 프랜차이즈다. 작은 점포에서 밀크티, 버블티, 밀크쉐이크, 아이스크림 등을 판매한다. 가격은 5위안(1000원) 내외다.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 중 하나인 레모네이드는 한잔에 4위안(800원)에 불과하다. 중국에는 곳곳에 미쉐빙청 점포가 입점해 있으며, 많은 손님들이 음료와 아이스크림을 사서 즐긴다.

미쉐빙청이 지난 3일 홍콩 증시에 상장했다. 상장 첫날 주가는 290홍콩달러로 마감했으며, 이는 발행가보다 43.21% 상승한 것이다. 이후 미쉐빙청의 주가는 연속적으로 상승했으며, 상장 5일째인 7일 주가는 366 홍콩달러를 기록했다. 시가총액은 1380억 홍콩달러로, 이는 원화로 25조원에 해당한다. 1000원짜리 밀크티를 파는 업체이지만, 기업가치는 우리나라 포스코홀딩스, 현대모비스, 한화오션과 비슷한 셈이다.

미쉐빙청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34억5000만 홍콩달러(약 6485억원)를 모집했다. 이는 올해 홍콩 증시 최대규모다. 미쉐빙청은 해당 자금으로 공급망 확충과 글로벌 진출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판매총액 12조원

미쉐빙청은 전형적인 프랜차이지 업체다. 매장수 95% 이상이 가맹점이다. 미쉐빙청은 가맹점에 원료를 팔고, 포장을 팔고, 레시피를 팔고, 브랜드를 판다.

지난해 연말 기준 미쉐빙청의 매장수는 4만 6479개다. 맥도날드의 4만 3477개 점포, 스타벅스의 4만 199개 점포를 뛰어넘는 수치이며, 점포수 기준으로 세계 최대다.

미쉐빙청의 점포수는 2021년 1만 9731곳이었고, 2022년에는 2만 7188곳으로 불어났다. 2023년에는 3만 6002곳을 기록했다. 최근 3년만에 점포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미쉐빙청의 매출액 역시 급증하고 있다. 2020년 매출액은 97억위안이였으며, 2021년에는 135억위안, 2022년 168억위안, 2023년 211억위안을 거쳐 지난해 257억위안을 기록했다. 매출액 역시 3년만에 2배가량 증가한 것.

지난해의 최종 소매액(GMV)는 전년 대비 21.7% 증가한 583억위안이었다. 583억위안은 원화로 12조원에 육박한다. 미쉐빙청이 판매하는 음료 매출액이 12조원인 것.

◆원료, 생산, 물류, 구매...완벽한 공급망

미쉐빙청의 경쟁력은 값이 싸면서 맛이 좋은 제품에 있다. 가성비 좋은 제품을 갖추고 있는 상황에서 미쉐빙청은 냉장물류망을 갖추면서 점포수와 매출액이 급증하고 있다. 점포에서 사용하는 과일을 공장에서 냉장물류를 통해 매장으로 배송하는 시스템을 갖춘 후 사세가 급속도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또한 미쉐빙청은 대형 공장을 운영하면서, 거대한 공급능력을 갖추고 있다. 완벽한 자체 공급망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미쉐빙청은 허난(河南)성, 하이난(海南)성, 광시(廣西)자치구, 충칭(重慶)시, 안후이(安徽)성 등에 다섯 개의 주요 생산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연간 종합 생산 능력은 약 165만 톤이다.

공장은 모두 원산지 인근에 위치해 있다. 미쉐빙청은 안후이성 딩위안(定遠)현에서 농민들이 수확한 딸기를 대량 수매한다. 수매 후 30분 이내에 이 딸기는 재배지에서 20km 떨어진 안후이 생산기지로 보내진다.

생산기지에서는 꼭지 제거, 세척, 품질 검사 등의 과정을 거쳐 시럽으로 제작된 후, 기계화 공정을 통해 포장된다. 포장된 후 곧바로 영하 35도로 급속 냉동한다. 이후 냉장 유통을 통해 매장에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딸기 밀크 쉐이크' '딸기 아이스크림'등의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미쉐빙청은 직접 쓰촨(四川)성에 레몬 재배지를 운영하고 있다. 미쉐빙청의 연간 레몬 구매량만 4만4000톤으로, 중국에서 가장 많이 레몬을 구매하는 기업이다.

줘스(灼識)컨설팅 보고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같은 유형과 품질의 레몬을 기준으로 할 때, 미쉐빙청의 구매 비용은 같은 업계 평균보다 20% 이상 낮았다.

이 밖에도 미쉐빙청은 전세계 38개국에 글로벌 구매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뉴질랜드산 분유, 가나산 코코아분말, 베트남산 패션프루트, 에티오피아·콜롬비아·브라질산 커피 원두까지를 직접 구매해 조달한다.

미쉐빙청은 공급망 경쟁력을 바탕으로 제품의 가성비를 극한으로 높인다. 상상할 수 없는 가격에 좋은 품질의 제품을 파는 만큼, 손님이 많을 수밖에 없다. 지난해 미쉐빙청은 약 90억잔의 음료를 판매했다. 14억 중국 인구를 감안하면, 평균적으로 중국인 1인이 미쉐빙청의 음료 6잔을 마신 것이다.

미쉐빙청 점포 모습 [사진=미쉐빙청]

◆동남아에 4800여개 점포 운영

미쉐빙청은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 베트남 하노이에 첫 해외 매장을 연 이후, 2024년 9월 30일 기준으로 미쉐빙청은 해외 11개국에 48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동남아지역 차 음료 시장에서 점포수 기준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 매장은 2667곳, 베트남에는 1304곳, 말레이시아에 337곳, 태국에 272곳이 영업중이다. 이 밖에도 필리핀에 98곳, 캄보디아 40곳, 라오스 22곳, 싱가포르 22곳이 운영되고 있으며, 호주에는 12곳이 있다. 일본에는 5곳이 있다.

미쉐빙청은 동남아 지역 확장을 위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등 4개국에 현지화된 창고 시스템을 구축한 상태다. 하이난성에 위치한 생산 기지에서 만든 제품을 해당 지역으로 배송하고 있다. 하이난성은 성 전체가 자유무역항으로 지정된 만큼, 정부의 수혜도 받고 있다.

미쉐빙청의 해외 진출은 하이난성의 공장을 거점으로 이뤄지는 만큼 하이난성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남아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2022년 11월 중앙대 1호점을 시작으로 홍대, 명동 등지에 매장을 오픈했다. 현재 7곳의 점포가 운영중이다. 가격은 중국보다 비싸서 레몬에이드 한잔에 2000원 남짓이지만, 한국 물가 수준을 감안하면 저렴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다만 공급망의 한계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빠른 속도의 성장을 구가하지는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쉐빙청의 글로벌 활약이 중국의 소프트파워 성공 사례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홍콩 주간지 아주주간은 인도네시아 국립대 아이르랑가대학 교수를 인용해 "저렴한 가격의 미쉐빙청은 인도네시아 서민들도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음료"라며 "학생·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브랜드"라고 소개했다. 싱가포르의 한 싱크탱크도 "미쉐빙청의 인도네시아에서의 성공은 중국 국가 소프트파워로 설명될 수 있다"며 인도네시아 현지 반중 감정을 희석시키는 데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쉐빙청 점포 [신화사=뉴스핌 특약]

◆지분가치 21조원 흙수저 출신 경제 영웅

중국에서는 미쉐빙청 창업주의 자수성가 스토리도 유명하다. 미쉐빙청의 창업주는 1977년생인 장훙차오(張紅超) 회장이다. 창훙차오는 허난성 카이펑(開封)시의 가난한 농촌 가정에서 태어났다.

1997년 대학 재학 당시 학비를 벌기 위해 허난성 정저우(鄭州)시에 작은 팥빙수 가게를 열었다. 이때 그는 직접 아이스크림 제조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는 신선한 우유와 계란으로 직접 만든 아이스크림을 2위안의 가격으로 팔기 시작했다. 정저우의 소비자들이 열광했다.

2000년 그는 미쉐빙청이라는 이름으로 점포를 다시 열었다.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하면서 동생 장훙푸(張紅甫)도 사업에 합류했다. 장훙차오는 현재 회장이며 장훙푸는 최고경영자(CEO)다. 형제는 각각 42.7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형제는 합해서 약 86%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7일 시가총액 기준으로 21조원에 해당한다.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법,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특별검사)'의 재구속 적법성 여부가 오는 18일 나온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형사9-2부(재판장 류창성)오는 18일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을 진행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중앙지법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인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다음 날 새벽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hyun9@newspim.com 2025-07-16 14:41
사진
'강선우 임명' 딜레마 빠진 대통령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과 해명 번복, 임금 체불 논란 등이 이어지며 여론이 악화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인사 원칙과 여성 내각 구성이라는 정치적 목표 사이에서 셈법이 복잡해진 분위기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5일 마무리됐지만, 논란은 오히려 커졌다.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선 익명 폭로가 이어지고, 여성단체들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담을 토로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결정을 미루고 있다. 남은 청문회 과정을 모두 지켜본 후 종합 판단하겠다는 게 현재까지 대통령실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임명 강행'과 '철회' 사이에서 득실 계산이 한창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4 photo@newspim.com ◆ 여성 인재 중용 기조...정치적 부담 상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여성 인재 중용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내각 여성 비율을 30% 목표로 한다고 공언했으며, 여성가족부를 존치한 배경에도 그 같은 상징성이 깔려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 외에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여성 후보자들이 줄줄이 청문회에 오르면서, 한 명의 낙마가 전체 균형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적 부담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는 현직 국회의원이다. 만약 청문회를 거쳐 낙마할 경우, 이는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현역 의원 낙마' 사례가 된다. 이는 청문회 제도와 야당의 검증력을 키워주는 반면, 여당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의 리스크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시민사회와 보좌진들 사이에 형성된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 자체에 흠이 날 수 있다. 강 후보자는 앞서 '사적 지시는 없었다'는 취지로 부인했으나, 이후 공개된 텔레그램 메시지로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7.14 mironj19@newspim.com ◆ '버티기 인사' 반복시 내각 전체 불신 확산 우려 또한 임명 강행은 향후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에도 불똥을 튀게 할 수 있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버티기 인사'를 반복하면, 결국 전체 내각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게 일부의 우려다. 대통령실은 16일 이후 여론 흐름 등을 토대로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까지 모두 지켜본 뒤, 장관 인선을 '패키지'로 정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권 초반 인사를 둘러싼 시험대에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강 후보자의 임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여성 인재 정책과 인사 기준, 여당 내 권력구도와도 맞물린 상징적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회의원에게 보좌진은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의정활동 전반을 보좌하는 파트너이자 국민과 국회를 잇는 다리"라며 "그런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 2025-07-16 14:3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