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개 연구소 선정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정부가 국내 대학의 연구 역량을 제고하고 연구 지원 체계 개선을 위해 대학 부설 연구소를 선정해 총 4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국내 대학 연구소가 세계적 연구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 |
정부가 국내 대학의 연구 역량과 연구지원 체계 개선을 위해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 10년 동안 1000억원을 지원한다. 국가연구소 사업 개념도. [사진=뉴스핌DB] |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학 연구 생태계 혁신을 위해 '국가 연구소(National Research Lab, NRL 2.0)' 사업을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우선 올해 4개 내외의 연구소를 선정해 매년 100억 원을 지원한다. 대학별로 최대 3개 연구소가 신청할 수 있으며, 1개의 연구소만 선정 가능하다.
예산은 교육부와 과기정통부가 각각 50%를 부담할 예정이다. 다만 사업 첫해인 올해는 6개월 분이 지원된다. 연구, 인력, 시설·장비 등 패키지형 블록 펀딩 방식이다.
대학별 자율 투자도 보장된다. 선정된 대학 연구소는 ▲산학연 협력 ▲연구 인력 확충 ▲연구 시설·장비 구축 ▲국내·외 공동 연구개발 등 대학의 특성과 강점에 맞춘 다양한 연구 활동을 추진할 수 있다.
정부는 부처·학문·주체 간의 경계를 허물어 연구소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병행할 방침이다. 오는 4월 말까지 신규 과제를 접수받아, 예비 및 본 평가를 통해 8월 국가 연구소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한편 기존의 연구소 지원 및 집단 연구 사업은 유지된다. 교육부는 '국가 연구소-대학 기초 연구소 지원(G-LAMP)-글로컬랩'으로 이어지는 대학 연구 혁신 프로젝트를, 과기정통부는 연구 주제별·집단별 맞춤형 지원 체계를 더욱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대학의 자율성에 기반한 혁신적 연구 생태계 구축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과제"라며 "국가 연구소 사업이 국내 대학의 연구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