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납처는 차장실"…김성훈 '계엄 공모' 의심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대통령경호처가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전날 민간인 신분이었던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노 전 사령관의 비화폰이 지난해 12월 중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검찰 출석 직전 반납됐다"며 '증거 인멸'을 우려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어제(4일) 청문회장에서 밝히지 않은 또 하나의 팩트가 있다"며 "(지난해 12월 2일 노씨에게 지급됐던) 비화폰이 기계상의 문제로 중간에 다시 반납이 됐다가 (경호처에서) 다시 비화폰을 지급했고 (최종적으로) 김 전 장관의 검찰 자진 출석 직전 반납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대경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비화폰과 관련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pangbin@newspim.com |
그러면서 "비화폰을 (노씨에게) 계엄 이후에 다시 준 이유는 증거인멸"이라고 추측했다.
윤 의원은 당시 노씨에게 비화폰을 건넨 사람이 대통령 경호처 소속 김성훈 차장이라고 언급했던 전날에 이어, 노씨에게 지급된 비화폰이 재차 차장실을 통해 경호처로 반납됐다는 사실도 언급했다.
그는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준 사람을 (제가) 김성훈 차장이라고 얘기했다. (비화폰을 누가 가져갔는지 기록해 둔) 불출대장에 따르면 김성훈 차장의 비서관이 불출을 해갔기 때문"이라며 "또 노상원이 쓰던 걸(비화폰을) 반납할 때 반납받은 장소도 차장실이었다. 김성훈 말고는 알 수 있는 자가 없다"고 부연했다.
윤 의원은 비화폰 관련 기록 확보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비화폰 기록이) 내란의 블랙박스라고 생각한다. 불출대장을 보면 비화폰을 누구에게, 언제 줬는지 나와 있다. 서버를 보면 연결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라며 "내란이라는 큰 퍼즐을 맞춰가는 데 굉장히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윤 의원은 전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서 김대경 경호처 지원본부장과의 질의 과정에서 비상계엄 사태 하루 전날 노씨에게 김 차장을 통해 경호처 비화폰이 지급됐다는 의혹을 처음 제기했다.
그는 '(비화폰) 불출대장'을 근거로 노씨에게 지급된 비화폰 번호 끝자리가 '9481'이며 노씨가 당시 예비역이었기 때문에 발급 대상에 '테스트(예)'라는 글자가 적혔다고 언급했다.
이어 계엄 전 이미 곽종근 전 특수작전사령관과 더불어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에게도 경호처가 모두 비화폰을 지급했다며 당시 불출대장에 각각의 직책을 의미하는 '테스트(특)', '테스트(수)', '테스트(방)' 등이 적혔다고 덧붙였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