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 인센티브 등 정책 지원 강화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공급과잉 해소를 통한 쌀값 안정과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해 올해 8만ha 감축을 목표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추진한다.
4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시도‧시군구는 지역여건을 고려해 친환경인증 전환, 전략작물 재배 등 5가지 유형별 세부 감축 계획을 이달까지 수립하고, 지역농협·생산자단체와 협력을 통해 감축을 이행한다.
농식품부는 인센티브 중심의 정책 지원을 보다 강화해 지자체와 농업인 참여를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벼 재배면적 조정제 [자료=기획재정부] 2025.01.05 plum@newspim.com |
먼저 벼에서 타작물 재배로 전환하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전략작물‧친환경 직불금 지원을 확대한다. 논에 타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배수개선, 논 범용화 등 타작물 생산 기반 지원도 확대한다.
콩‧가루쌀 수매 비축, 식품기업과 연계한 전략작물의 제품개발·판촉 등 유통‧소비 기반도 뒷받침하기로 했다.
또 지자체를 통해 자율적으로 타작물 전환, 자율감축 등을 적극 발굴해 벼 재배면적 조정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에는 공공 비축 미곡을 확대해 우선 배정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식량·SOC 등 관련 정책 지원사업을 우대하고, 지자체와 농협에서 추진하는 지원사업에서도 감축에 참여한 농업인을 우대한다.
농식품부는 벼 재배면적 조정제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오는 5일 지자체와 관계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벼 재배면적 조정제는 지자체와 농업인의 적극적인 참여가 성공의 핵심"이라며 "정부는 이를 통해 농업인 소득 안정을 돕고, 쌀 산업의 장기적 안정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흥 친환경 벼 생산단지 [사진=전남도] 2024.10.17 ej7648@newspim.com |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