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양대 로봇주 '도봇'과 '유비텍' 비교 분석
협동로봇(코봇)과 휴머노이드 로봇 대표 기업
동일한 업종, 비슷한 배경에도 시총 차이 극명
시총 차이 원인 분석, 성장성과 투자가치 진단
이 기사는 1월 8일 오후 2시1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홍콩 양대 로봇주 '도봇' vs '유비텍'① 시총 온도차,무엇을 말하나?>에서 이어짐.
◆ 같은 업종 다른 운명? 상반된 시장 온도
도봇과 유비텍은 동일한 로봇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동일한 홍콩증시에 상장했고, 같은 심천 출신 기업이라는 다수의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시가총액(시총)에서는 극명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12월 23일 홍콩증시에 상장한 도봇은 '코봇(협동로봇) 1호주'라는 타이틀로 불리며 시장의 큰 관심 속에 상장식을 치렀다.
상장 당일 도봇의 주가는 공모가(18.8 HKD) 대비 단 0.74% 상승한 18.94 홍콩달러(HKD)로 장을 마감, 시장의 기대와 달리 실망스런 상장식을 치렀다. 이후 주가는 급등과 급락을 오고 가며 높은 주가 변동성을 보였고, 2025년 1월 7일 최신 종가는 18.82 HKD까지 낮아진 상태다. 시총은 75억3000만 HKD를 기록 중이다.
[사진 = 도봇(DOBOT) 공식 홈페이지] 2024년 12월 23일 중국 공업용 로봇 제조업체 월강과기(越疆∙DOBOT 2432.HK)가 홍콩증시에 상장했다. |
유비텍은 지난 2023년 12월 29일 '휴머노이드 로봇 1호주'라는 타이틀을 달고 홍콩증시에 상장했다.
상장 당일 유비텍 또한 예상과 달리 시장의 반응은 다소 미적지근했다. 상장 당일 발행가(90 HKD)보다 낮은 89.9 HKD로 개장해 0.94% 오른 90.85 HKD로 마감했다. 향후 극심한 주가 등락을 거듭하면서 2025년 1월 7일 최신 종가는 51.90 HKD로 낮아지긴 했지만 시총은 224억 HKD로 도봇과 비교해서는 3배나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당시 현지 전문가들은 아직 발전 초기 단계인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요원한 상업화 시점과 지난 3년간 이어온 적자 랠리에 따른 펀더멘털의 불안정성이 투자 욕구를 끌어내린 것으로 풀이했다.
[사진 = 유비텍 공식 홈페이지] 2023년 12월 29일 홍콩증권거래소 상장식에서 저우젠(周劍) 유비텍(優必選∙유비쉬안∙UB TECH, 9880.HK) 대표와 유비텍이 개발한 공업용 1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인 워커(Walker)S가 함께 타종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이처럼 두 로봇 기업의 몸값이 차이가 나는 배경과 관련해 중국전자상거래전문가서비스센터 궈타오(郭濤) 부주임은 사업 포지셔닝, 재무상태, 기술력, 시장 인지도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차이들이 두 기업의 시가총액 격차를 만들었다고 평했다.
궈 부주임은 유비텍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주력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높다는 시장의 인식 하에, 휴머노이드 로봇 1호주로서 시장의 높은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도봇이 주력하는 코봇(협동로봇)은 응용 시나리오가 상대적으로 일부 영역에 집중돼 있어 향후 확장할 시장 규모와 잠재력이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사진 = 도봇 공식 홈페이지] 도봇이 개발한 다관절 6축 협동로봇 CRA 시리즈 모델. |
시장 규모 면에서도 코봇과 휴머노이드 로봇의 차이는 상당히 뚜렷하다.
중국상업산업연구원(中商產業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2029년 750억 위안(약 14조8600억원), 2035년에는 3000억 위안(약 6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글로벌 코봇 시장 규모는 2023년 10억3000만 달러에서 2028년 49억5000만 달러(약 7조2100억원)로, 연평균 성장률(CAGR)은 36.6% 정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중국 시장으로 한정했음에도 글로벌 시장으로 영역을 확장해 판단한 코봇 시장 규모 대비 훨씬 높다. 코봇 시장의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휴머노이드 로봇이 목표로 하는 잠재 시장과 비교하면, 후자는 개인 사용자와 기업 고객을 포함한 더 광범위한 소비자층을 커버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유비텍의 성장 여력에 대해 더욱 낙관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일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2024년부터 유비텍이 주력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가 특히 뜨거워져 로봇 분야의 대세로 자리잡았고,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어졌을 뿐만 아니라 산업 측면에서도 역동적인 발전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례로 10월 중국 케플러(開普勒∙KEPLER)가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K2를, 중국 중칭로봇 (眾擎機器人)이 첫 번째 전신 크기 휴머노이드 로봇 SE01을 출시했다. 11월, 샤오펑자동차는 AI 휴머노이드 로봇 Iron을 발표했다. 이어 같은 달 중순 무렵에는 화웨이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로의 적극적인 진출 계획을 구상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휴머노이드 로봇 테마를 향한 시장의 관심이 한층 더 증폭됐다.
AI 기술의 지원 하에 휴머노이드 로봇은 실험실에서 생산라인으로 상용화 과정을 빠르게 진척시키고 있다. 다수의 기관은 2025년은 업계가 주목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업화 대량 생산의 원년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
궈 부주임은 "로봇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휴머노이드 로봇은 가속 성장기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며,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로서는 휴머노이드에 비해 시장의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코봇 또한 로봇 산업의 핵심 영역으로서 지속적인 수요 증가세 속에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코봇은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과 비교하여 쉬운 설치, 높은 안전성 등 뚜렷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노동력 구조가 빠르게 조정되는 상황에서 인간과 로봇의 협업 트렌드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코봇에 대한 중국 시장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중국 시장조사업체 MIR(루이공업·睿工業)에 따르면 2025~2028년 중국 코봇 시장 규모는 2023년 2만3500대에서 2028년 10만1000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