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시승기] 제네시스 G80 전동화, 럭셔리 전기차의 새 기준

기사입력 : 2024년12월01일 06:48

최종수정 : 2024년12월01일 06:48

130mm 늘어난 휠베이스...훨씬 넓어진 뒷좌석
'조용함 속의 묵직함'...아무 소리 없이 100km 도달
초급속 충전시 10%→80% '25분' 충전
뱅앤올룹슨 사운드에 뒷자리 각각 배치된 모니터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혼을 담은 제네시스 브랜드를 대표하는 G80은 국내외 시장에서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등 독일 차들과 경쟁하며 고급차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현시대 대표적인 '사장님 차'로 자리 잡은 G80의 전동화 모델은 제네시스 브랜드의 첫 전기차다. G80 특유의 럭셔리함에 전기차의 성능을 더해 고급 전기차의 모범적인 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제네시스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 kimsh@newspim.com

그런 G80 전동화 모델이 오너 드라이버와 탑승자 모두를 위한 성능을 갖춘 'G80 전동화 부분 변경 모델'로 돌아왔다.

최근 서울 중랑구에서 경기 양평까지 편도 50km, 왕복 100km를 직접 운전해 다녀왔다. 처음 G80 전동화 부분 변경 모델을 본 느낌은 '웅장하게 크다'는 느낌이었다. "G80이 이렇게 큰 차였던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 부분 변경 모델은 기존 모델에 비해 휠베이스(축간거리)가 130mm 늘어났다. 3140mm의 휠베이스가 만드는 넉넉한 공간으로 특히 뒷좌석이 더욱 넓어졌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2960mm)보다 180mm 큰 크기다. 휠베이스와 함께 전장도 늘어나 총 전장은 5135mm다. 사장님의 품격에 걸맞다.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제네시스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 kimsh@newspim.com

뒷자리에 동승자를 태우고 처음 가속 페달을 밟았을 때 느낌은 '조용함 속의 묵직함'이었다. 내연 기관 G80의 성능에 전기차의 장점이 잘 더해진 느낌이다.

"내가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건가"라는 생각이 몇 차례 머리를 스쳐가는 동안 아무런 소리 없이 속도계의 바늘이 계속 올라갔다. 제원상 정지 상태에서 출발해 시속 100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5.1초다.

가속 초반 느껴진 묵직함은 곧 사라졌다. 골목길에서 도심 도로를 지나 고속도로에 진입하니 물 만난 고기처럼 길 위를 미끄러지듯 달려갔다.

승차감을 좌우하는 발진감과 정속 주행 시, 고급성은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에 견줄 만큼 훌륭하다. G80의 묵직함 덕일까.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속도가 급감하는 회생 제동의 특징을 가진 전기차이지만 G80 전동화 모델의 급감 느낌은 다른 차에 비해 적었다.

현대차그룹의 아이 페달(I-Pedal) 시스템이 적용됐는데, 아이 페달은 0단계부터 Max 단계, 총 5개 단계다. Max 단계로 주행해 보니 '원페달' 기능으로 브레이크에 대한 부담 없이 도심 도로에서 유용했다. 반대로 0단계에서는 회생 제동 기능이 아예 꺼져 내연차와 전혀 다를 바가 없었다.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제네시스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 kimsh@newspim.com

G80 전동화 모델은 SK온의 4세대 배터리를 탑재했다. 94.5kWh 고전압 배터리로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 가능 거리는 도심 492km, 고속도로 454km, 복합 475km로 개선됐다. 연비는 정부 신고 기준 도심 4.6km/kWh, 고속도로 4.3km/kWh, 복합 4.4km/kWh다.

전기차 성능을 좌우하는 또 하나의 요소인 충전 시간도 획기적이다. 800V급 초급속 충전 시 10%에서 80%까지 25분이면 충전된다. 11kW급 완속 충전을 하면 100%까지 충전되는 데 필요한 시간은 9시간이다.

탑승자를 위한 고급화 옵션들도 세심하다. 세계적인 명품 음향사인 뱅앤올룹슨(BANG&OLUFSEN)을 장착해 최고 수준의 사운드를 제공한다. 또한 뒷자리 두 석에 각각 배치된 14.6인치 광시야각 모니터는 탑승자 각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제네시스 G80 전동화 부분변경 모델. kimsh@newspim.com

kim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