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용산 드래곤시티서 '2024 디지털 이노베이션 인사이트' 행사 개최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AI는 더 이상 특정 업계나 산업이 아닌, 이제는 누구나 다 인지하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술이 됐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네이버 등 국내외 정보기술(IT) 기업에 종사하는 임직원들은 25일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열린 '2024 디지털 이노베이션 인사이트' 행사에서 각 사의 인공지능(AI) 적용 사례와 전략을 공유하며, AI가 모든 산업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건복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상무는 이날 'AI를 통한 생산성의 새로운 혁신'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AI를 '제너럴 퍼포스 테크놀로지(General Purpose Technology)'로 정의했다.
[사진=ICT이노베이션스퀘어 유튜브 캡처] |
이건복 상무는 "우리는 100년 전에 전기 없이 살았던 때로 다시 돌아갈 수 없다. AI가 그렇다"라며 "한때 전기라는 기술은 매우 혁신적이었고 아주 일부 사람만 쓰는 기술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전기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그런 시대가 됐다. AI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또 "AI를 활용하면 파워포인트 초안을 불과 몇 분 이내에 수십 장 만드는 일은 어렵지 않다. 중요한 것은 파워포인트를 만들기 위해 걸렸던 수많은 시간이 줄어듦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잉여된 시간을 통해 좀 더 인간적이고 기존에 없었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이미 학교에서는 자신의 생각과 AI의 콘텐츠를 혼합해 활용하는 등 세대 간의 빠른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ICT이노베이션스퀘어 유튜브 캡처] |
오충현 구글 매니저는 '파일럿을 넘어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는 구글의 AI 전략'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현재 생성형 AI의 수준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오충현 매니저는 "현재 생성형 AI는 인간 지능 대비 레벨 2-3 수준으로, 초보자나 약간의 지능을 가진 정도"라며 "앞으로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시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을 통합하는 멀티모달 에이전트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기업의 AI 도입과 관련해 "생성형 AI를 적용할 때는 MZ세대의 짧은 집중력과 소비 패턴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제품의 생산에서 소비 단계, 사용 후 만족도, 불만 개선 노력 등 소비자와 관련된 모든 분야를 포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반적인 챗GPT나 제미나이를 갖고 있는 것들은 모두 동일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고유 데이터가 없으면 동일한 답을 줄 수밖에 없다"라며 "기업들은 고유의 데이터를 가지고 추가적인 학습을 하거나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법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ICT이노베이션스퀘어 유튜브 캡처] |
함흥용 엔비디아 전무는 '산업 디지털화를 위한 엔비디아 AI 전략'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앞으로 등장할 물리적 AI에 대해 설명했다.
함흥용 전무는 "현재 모든 기업이 전 세계에 어떤 조직이 됐든 나라가 됐든 수백억, 아니 수천억, 심지어는 조 단위의 투자를 하면서 데이터센터를 통해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라며 "예컨대 엔비디아도 3만 명의 직원 중 2만 7000명이 엔지니어이며, 그중에서 반도체를 설계하는 인력은 3~4,000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2만 명 이상은 소프트웨어적인 가속을 위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향후에는 엔비디아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통해 초당 800조의 연산이 가능한 GPU가 개발되면 사람과 같이 소통하고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게 될 것"라며 "10년 후에는 휴대폰처럼 모든 사람이 물리적 AI인 개인용 로봇을 한 대씩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ICT이노베이션스퀘어 유튜브 캡처] |
김필수 네이버 이사는 '생성형 AI와 실제 적용 사례'라는 주제 발표에서 네이버의 AI 사업 사례를 소개했다.
김필수 이사는 "(네이버 초대규모 언어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는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 콘텐츠 생성,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라며 "또한 의료와 복지 분야에서도 AI의 적용이 확대돼, AI를 통해 의료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복지 서비스의 개인화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예를 들어, 네이버는 AI 기반의 헬스케어 솔루션을 통해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의료진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라며 "AI의 발전은 단순히 기술적 진보에 그치지 않고,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AI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