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월간 재정동향' 9월호 발표
총수입 357.2조…진도율 58.3%
7월 관리재정수지 83.2조 적자
[세종=뉴스핌] 백승은 기자 = 나라 재정 동향을 알려주는 관리재정수지가 상반기 100조원 적자에 도달한 데 이어 하반기에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올해 7월 관리재정수지는 2014년 이후 역대 세 번째로 큰 적자를 냈다.
기획재정부가 12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9월호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총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조9000억원 증가한 357조2000억원을 나타났다. 진도율은 58.3%다.
국세수입은 208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조8000억원 감소했다. 법인세가 15조5000억원 줄어든 영향이 컸다. 증권거래세, 관세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이 기간 소득세는 소비 증가 및 환급 감소로 부가가가치세는 6조2000억원 늘어났다.
그나마 세외수입과 기금수입이 보탬이 됐다. 세외수입은 18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1000억원 증가했다. 기금수입은 129조90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조6000억원 늘었다.
![]() |
김완수 기재부 재정건전성과장은 "세외수입의 경우 농어촌공사가 청사를 이전하면서 기존 부지나 매각대금이 크게 발생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총지출은 409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조3000억원 증가했으며, 진도율은 62.4%다. ▲건강보험가입자지원(3조2000억원) ▲퇴직급여(1조2000억원) ▲부모급여지급(1조1000억원) 등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7월 누계)는 52조3000억원 적자다. 사회보장성기금수지 30조8000억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83조2000억원 적자다.
관리재정수지는 정부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반영하는 수지다. 이번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지난 2014년 재정동향 작성 이후 세 번째로 큰 적자 규모다.
김완수 재정건전성과장은 "7월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2014년 재정동향 낸 이후부터 역대 3번째 수준"이라며 "첫 번째는 2020년 코로나영향으로 98조1000억원 적자를, 2022년에는 86조8000억원 적자를 냈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 6월 누계 관리재정수지(-103조4000억원)에 비해 적자폭을 개선했다. 김완수 과장은 "총수입 쪽에서 부가가치세의 7월 납입분이 들어오면서 수입이 증가해 개선됐다"고 말했다.
7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159조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3조4000억원 증가했다. 올해 8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1조8000억원이다. 경쟁입찰 기준 10조5000억원이다.
8월 국고채 금리는 중동 지정학적 긴장 완화, 연준의장의 금리 인하 시사 발언으로 빅 컷(-50bp) 기대감이 커지는 등 영향으로 단기물 금리는 하락했다. 다만 내년 국채발행량 규모 확대에 따른 장기물 수급 부담 우려 등 영향으로 장기물 금리는 상승했다.
100wi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