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아처 에비에이션 ① 캐시 우드, 테슬라 팔고 아처 샀다

기사입력 : 2024년07월10일 22:00

최종수정 : 2024년07월10일 22:04

ACHR 주가 2일 8.8%, 3일 13.2% 상승
아크, 테슬라 주식 6만2867주 매도
아크, 아처 주식 40만6912주 매수

이 기사는 7월 5일 오전 02시4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도심항공교통(UAM) 업계의 선두 주자로 꼽히는 미국의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개발업체 아처 에비에이션(종목코드: ACHR)의 주가가 3일(현지 시각) 뉴욕증시에서 13.2% 급등했고, 2일에는 8.8% 상승해 5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섰다. 글로벌 자동차 업체 스텔란티스(STLA)가 55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했다는 소식이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열혈 테슬라(TSLA) 강세론자인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 인베스트먼트가 테슬라 주식을 일부 매도하고 아처 에비에이션 주식을 대거 매입했다는 소식도 이목을 끈다.

아처 에비에이션의 미드나잇 [사진=블룸버그]

2018년 10월 설립돼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 본사를 둔 아처 에비에이션은 복잡한 도심 교통을 해결하는 도심항공교통(UAM) 수단으로 5인승(조종사 1명·승객 4명) eVTOL을 개발하며, 2025년 에어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UAM은 대도시의 교통 혼잡 완화뿐만 아니라 응급환자 수송과 여행 등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모간스탠리는 2040년 UAM 시장이 1조50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일일 거래 업데이트에 따르면 2일 캐시 우드는 테슬라 주식을 6만2867주 매도하고 아처 주식을 40만6912주 매수했다. 2일 종가 231.26달러 기준으로 테슬라 주식을 1453만8000만달러어치 팔고, 같은 날 종가 3.72달러 기준으로 아처 주식을 151만달러어치 사들인 셈이다. UAM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막대한 상황에서 에어택시 상용화를 위한 아처의 기술 진전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일 스텔란티스가 양사의 전략적 자금 지원 계약에 따라 아처에 55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이번 투자는 지난 6월 8일 아처가 전기수직이착륙기 '미드나잇'의 주요 시험 비행 마일스톤을 달성한 후 이뤄진 것이다. 아직 개발 단계인 전기수직이착륙기 기업에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자금 확보다. 스텔란티스의 자금 수혈은 현금 사정을 개선하면서 앞으로의 상용화 과정에 든든한 지원군이 될 전망이다.

이에 앞서 2023년 스텔란티스는 공개 시장 주식 매입과 양사의 전략적 자금조달 계약에 따른 투자를 합하여 총 1억1000만달러의 자금을 아처에 투입했다. 또 올해 3월 아처 주식 830만주를 공개 시장에서 매입하기도 했다. 경쟁사 조비 에비에이션(JOBY)의 수직계열화 전략과 달리 수평계열화를 추구하는 아처는 스텔란티스와 협업하여 전기 에어택시를 생산한다.

내년 에어택시 상용화 목표를 맞추기 위한 과정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지난달 5일 아처는 미 연방항공청(FAA)으로부터 상업적 항공사 운영에 필요한 항공운송업 인증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연내 인증 절차를 모두 완료하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아담 골드스타인 최고경영자(CEO)는 승객을 이동시키는 에어택시 사업에 중요한 '파트 135 항공 운송 및 운영자 인증서'를 받았고, FAA 인가를 받은 '미드나잇'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수 항공기에 대한 수리 서비스를 허가하는 '파트 145 인증서'를 받은 지 약 4개월 만이다.

아처의 주요 파트너 중 한 곳인 유나이티드 항공(UAL)의 마이크 레스키넨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몇 년간 아처가 이룬 발전과 혁신의 속도는 놀라울 정도이며, 오늘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저소음 에어택시 서비스를 출범하기 위한 여정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고 말했다. 아처는 2021년부터 유나이티드 항공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유나이티드 항공으로부터 전기수직이착륙기 주문을 수주했다.

아처의 목표는 지상에서 자동차로 60~90분 걸리는 출퇴근을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소음이 적고 비용 경쟁력이 있는 에어택시로 대체하여 통근 시간을 10~20분으로 단축하고 도심 교통을 혁신하는 것이다. 비행 간 충전시간을 최소화한 미드나잇은 최대 항속 거리가 100마일로 조종사 외에 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으며, 최고 시속 100마일 비행이 가능하다.

아처는 6월 17일 전 세계에서 200개 이상의 민간 항공 터미널을 운영하는 시그니처 에비에이션과 계약을 체결해 시그니처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 계약에 따라 아처는 뉴욕,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텍사스의 이착륙장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졌고, 이르면 2025년 말부터 미국 뉴욕 근교에 있는 뉴어크 국제공항과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의 유나이티드 항공 허브에서 에어택시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이어 6월 20일 아처는 사우스 샌프란시스코, 나파, 산호세, 오클랜드, 리버모어 등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5개 전략적 위치를 연결하는 항공 모빌리티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을 발표했다. 샌프란시스코 베이 주변 도시까지 1~2시간 차로 운전하는 대신 10~20분 정도 소요되는 항공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 지역 커뮤니티에 전례 없는 연결성을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아처는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부동산 신탁업체 킬로이 리얼티(KRC)와 '킬로이 오이스터 포인트'를 아처가 계획 중인 샌프란시코 베이 지역 UAM 네트워크의 핵심 허브로 지정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아처는 샌프란시스코 남부의 이착륙장에 접근하여 나파, 산호세, 오클랜드, 리버모어에 계획된 아처 버티포트(eVTOL 이착륙에 사용되는 UAM 전용 공항)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아처의 브라이언 번하드 최고성장및인프라책임자(CGIO)는 "킬로이는 아처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자사 부동산 포트폴리오의 차별화된 편의시설로 인식한 최초의 부동산 개발업체"라고 치켜세우면서 "킬로이와 협력하여 아처의 항공 모빌리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프라를 개발하고 베이 주변에 강력한 이착륙장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②편에서 계속됨

kimhyun0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