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시승기] 큰 덩치에도 높은 연비...초보도 운전 쉬운 '토요타 하이랜더'

기사입력 : 2024년06월02일 08:21

최종수정 : 2024년06월02일 08:21

직관적인 내부 디자인과 시스루 뷰 기능으로 쉬운 주차
곳곳에 수납공간 탑재…2열 중심 넓은 공간 확보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대형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는 연비가 떨어지고 운전이 어렵다는 선입견을 부숴줬던 차량이 있다. 바로 토요타 하이랜더. 막히는 도심에서도 평균 연비가 15km/ℓ에 달하는 등 대형 차량 특유의 둔함 없이 바라는대로 운전이 잘 되는 편안함을 느꼈다.

토요타의 하이랜더 측면. [사진=조수빈 기자]

지난 20일 서울에서 충청도까지 왕복 240km를 하이랜더로 운전해 봤다. 대형 SUV는 처음인데다 장거리 운전까지 앞둬 운전이 제대로 될 지 걱정이 앞섰다.

◆직관·실용적인 디자인…전기차에 가까운 모터

하이랜더의 제원은 전장 4965㎜, 전폭 1930㎜, 전고 1755㎜, 축거 2850㎜로 도로에 들어서면 꽉 차는 기분이 든다. 그러나 걱정은 운전을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수입차를 시승할 때는 어떤 조작 버튼이 어디 달려 있는지 찾는 것부터가 난관이다. 토요타는 직관적인 디자인과 아날로그틱한 버튼들이 마음을 편하게 해줬다. 2톤에 달하는 공차 중량에도 핸들이 밀리거나 굼뜬 느낌이 없어 별다른 적응 없이 금세 운전에 적응할 수 있었다.

파노라믹 뷰 시스템이 좁아진 도로 상황에서 차량의 위치를 가르쳐주고 있다. [사진=조수빈 기자]

평소 서라운드 카메라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지만 차량이 커지니 좁아진 도로나 주차 시에 전체 차량의 위치를 체감할 수 있는 보조 기능이 필요해졌다.

기자가 탄 플래티넘 사양에서는 주차를 든든하게 지원해주는 '파노라믹 뷰 모니터 시스템'이 내내 마음을 가볍게 했다. 차량을 위에서 내려다 보는 듯한 영상과 차체를 투과해 가려진 부분까지 보여주는 시스루 뷰 기능이 적용된다. 광각으로 보여주는 앞 뒤 상황을 함께 마련해 동승자가 내리지 않아도 수월하게 주차를 할 수 있었다.

주행 중에서도 시속 7~80km까지 전기모터가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여 엔진 개입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다. 188마력을 내는 2.5L 가솔린 자연흡기 엔진에 134㎾로 출력이 강력해진 MG2 모터와 리튬이온 배터리가 결합해 시스템 총출력 246마력을 발휘한다. 하이브리드 엔진이 주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주행 성능이다.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DRCC)은 장거리 주행이나 정체 시에도 선행차량 감지와 선행 차량 가·감속 시 주행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앞차가 정차 후 재출발 시 최초로 설정한 속도에 맞춰 스스로 주행하는 기능은 정체구간에서 요긴하다.

내부 디자인은 무난한 편이다. 아직까지 센터페시아 공조버튼이 모두 물리 버튼 형식이라는 점, 기어 변속 역시 기어봉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직관적이다. 이러한 직관적임이 올드하단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누가 운전하더라도 적응이 쉽다는 장점은 있다. 디스플레이는 12.3인치 대형 센터 모니터가 들어가면서 조금 더 디지털에 가까워졌다.

2열의 넉넉한 레그룸이 장점, 162cm의 기자가 발을 뻗어도 크게 불편하지 않고 시트 역시 독립시트 형식을 탑재해 자유도가 높다. [사진=조수빈 기자]

◆2열 공간이 장점…소음 적고 수납 공간 많아

준대형 SUV의 강점은 2열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2열 시트는 독립식으로 적용했으며 암 레스트와 컵홀더 등도 별도로 마련돼 있다. 레그룸 역시 162cm의 기자가 다리를 펴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넓다. 통풍시트는 1열에만 적용되며 열선시트는 1, 2열에 모두 적용된다.

운전 동안 동승자에게 2열의 사용감을 물으려 했더니 이미 자고 있었다. 2열까지도 노면 상황에 따른 쏠림 현상이 적었던 모양이다. 내부가 넓음에도 소음이 적어 대화하기에 어렵진 않다. 군데군데 수납공간이 많은 점, 컵홀더가 배치돼 있다는 점 등을 볼 때 가족용 차량으론 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수납공간도 넉넉하다. 2열과 3열은 풀 폴딩도 가능하다. 경쟁 모델로 꼽히는 현대자동차의 팰리세이드의 4인 가족 탑승 기준 적재 공간 1297L보다 큰 1371L를 보유하고 있다. 기본 용량은 453L다.

야간에 디지털 백미러에서 빛이 번져 보이는 모습. [사진=조수빈 기자]
낮에 재촬영한 디지털 백미러. 밤보다는 훨씬 선명하다. [사진=조수빈 기자]

아쉬웠던 부분은 디지털 리어뷰 미러다. 평소 3D 화면을 보고 멀미를 느낀다면 오히려 디지털 미러가 불편할 수 있겠다. 레버를 조작하면 광학 미러모드와 디지털 미러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니 편의대로 조정하면 된다. 개인적으로는 야간에 디지털 백미러에 담긴 차량 불빛들이 더 번져 보여 아쉬웠다.

하이랜더 하이브리드는 리미티드와 플래티넘 2가지 트림이 있으며 부가가치세 포함 리미티드는 6660만원, 플래티넘은 7470만원이다.

bean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지각대장' 푸틴, 새벽에 평양 지각 도착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났다고 크렘린궁과 러시아 매체 등 외신이 전했다. 크렘린궁 측이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푸틴은 예정보다 늦은 이날 새벽 2시45분께 전용기인 일류신(IL)-96 항공기로 도착했으며, 공항 활주로에서 영접 나온 김정은과 환영 의식을 가졌다. [서울=뉴스핌]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영접 나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옹하고 있다. 두 사람은 이날 정상회담을 갖는다. [사진=크렘린궁] 2024.06.19 김정은과 푸틴은 환영 행사를 위해 의장대가 도열한 레드카펫을 걸어가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푸틴의 이야기를 통역을 통해 들은 김정은이 고개를 끄덕이는 장면도 드러났다. 두 정상은 푸틴의 전용차량인 러시아산 '아우루스' 차량에 서로 먼저 탈 것을 청하며 한동안 옥신각신 했고 결국 푸틴이 먼저 탑승해 뒷좌석 오른쪽에 앉았다고 현지에서 취재한 매체들은 전했다.  푸틴은 김정은의 안내로 숙소인 금수산영빈관에 묵었다. 지난해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센터에서 만난 이후 9개월 만에 재회한 김정은과 푸틴은 19일 정상회담을 하고 북러 간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에 서명하는 등의 결과를 공동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푸틴의 방북은 지난 2000년 7월 첫 평양 방문에 이어 두 번째로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북한의 대러 무기 제공 등으로 밀착관계를 보여온 북러 정상 간의 논의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yjlee@newspim.com 2024-06-19 06:03
사진
尹 지지율 35.2% 제자리걸음…'동해 석유' 발표 별무신통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5.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2.2%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6%다. 지난 조사 대비 긍정평가는 0.1%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0.6%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7.0%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6.5% '잘 못함' 72.1%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2.3% '잘 못함' 64.4%였다. 40대는 '잘함' 22.5% '잘 못함' 75.3%, 50대는 '잘함' 32.3% '잘 못함' 66.5%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45.5% '잘 못함' 51.4%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5.0%로 '잘 못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7.0%,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6.2%, 대전·충청·세종 '잘함' 34.8% '잘 못함' 63.6%, 부산·울산·경남 '잘함' 35.7% '잘 못함' 59.9%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1.9% '잘 못함' 45.6%, 전남·광주·전북 '잘함' 21.9% '잘 못함' 75.1%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8.0% '잘 못함' 54.6%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2.4% '잘 못함' 65.7%, 여성은 '잘함' 38.0% '잘 못함' 58.8%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결과에 대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 국정브리핑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한 9·19 군사합의 파기 등의 이슈를 거치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었다"며 "그러나 액트지오사에 탐사 분석을 맡긴 배경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고, 육군 훈련병 영결식에 참석하는 대신 여당 워크숍에 가는 모습 등 때문에 민심이 움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앞으로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지율은 떨어지지도, 올라가지도 않을 것 같다"며 "많은 국민이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아예 버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지지율이 올라가려면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6-13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