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감시체계 고도화·야간산불 대비 태세 확립...인프라·협조체계 구축
손병복 군수 "예방이 최고의 대응력...산불예방 모범사례 자리매김 총력다할 것"
[울진=뉴스핌] 남효선 기자 = '미증유'의 대형산불 생채기를 보듬고 화마에 앗긴 삶의 터전 복원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경북 울진이 산불 등 각종 재난 대응력을 빈틈없이 구축하고 있다.
지난 2022년 '울진 산불' 이후 산불 감시인력을 대폭 보강하고, 산불 감시체계 고도화를 지속 추진하며 다시는 같은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산불 예방체계 강화에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 |
경북도와 울진군의 119산불특수대응단 건립 업무협약식.[사진=울진군] 2024.04.16 nulcheon@newspim.com |
◇ 봄철 산불 기간 총력 대응
"산불에 대한 최선의 대응책은 예방"이다. 울진군이 내건 슬로건이다.
울진군의 산불 등 재난 대응의 출발점은 '빈틈없는 예방 시스템'이다.
울진군은 이달 1일부터 30일까지 '산불 특별대책기간'이 공고(산림청 공고 제2024-139호)됨에 따라 봄철 산불조심기간 동안 전 행정력을 동원해 산불방지에 대응하고 있다.
산불방지대책본부 24시간 운영을 통해 산불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산불예방 활동을 강화하는 등 야간산불 대응 대비 체계를 가동했다.
신속한 산불 조기 발견을 위한 '산불 ICT 플랫폼 활용(6개소-24채널)',' 무인감시 드론스테이션 운영(금강송면 소광리 일원)' 등 인력만으로 감시하기 어려운 다채널 CCTV 영상을 AI를 활용해 분석함으로써 산불감시체계를 고도화했다.
또 봄철 주된 산불의 원인인 불법소각 예방을 위해 산불감시원 등 감시인력을 활용, 지속적인 계도ㆍ점검을 강화했다.
이와함께 화목보일러 사용 농가ㆍ독가촌 등 산불 취약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현장 중심의 산불 예방 활동을 주력하고 있다.
특히 일몰시간이 늦어짐에 따라 야간산불 대응위한 드론스테이션의 운영시간을 조정(12시~20시)하고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야간 배치(13시~21시) 등 신속한 야간산불 대응을 위한 대비 태세를 확립하였다.
산불 발생 초동 진화를 위한 헬기 5대(대형 2, 중형 2, 소형 1)가 항시 출동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 |
손병복 울진군수가 산불 전문진화대와 간담회를 열고 대응력 강화방안을 공유하고 있다.[사진=울진군]2024.04.16 nulcheon@newspim.com |
◇ 대형산불 대응체계 강화
울진군은 지난 2020년 미증유의 대형 산불 경험을 통해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의 소중함을 익혔다.
울진군은 지난 5일 울진국유림관리소, 울진산림항공관리소, 울진소방서, 울진경찰서, 대구지방기상청, 육군 5312부대, 한국전력공사 울진지사, 울진군산림조합 등 8개 기관과 함께 봄철 대형산불 대비 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유관기관과 공조 체계를 강화했다.
또 지난 3월 28일에는 경상북도 소방본부, 부산국토청과 119산불 특수대응단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19산불특수대응단 청사건립이 완료되면 1개 단 6팀 62명의 인력과 국내 최대 담수량 1만1356ℓ급 초대형 헬기가 배치돼 경북도와 동해안 일대의 산불 진화에 투입된다.
이와함께 경북 동해안 대형산불 진화의 컨트롤타워인 '국립 동해안 산불방지센터'가 울진에 신설될 예정으로, 울진군은 대형산불에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를 더욱 강화하게 되었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대형산불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산불은 예방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며 "그날의 아픔을 잊지 않고,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잃지 않도록 모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군수는 또 "미증유의 산불 피해지역인 울진군이 기록적으로 피해를 극복하고 산불 예방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