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추진 지자체 14곳 이내 선정, 국비 520억원 규모 지원
[서울=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국토교통부는 시민과 기업, 지자체가 힘을 모아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특성에 맞는 획기적인 서비스를 찾고 만들어 나가는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확산사업 공모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 |
올해는 3가지 유형의 사업을 추진한다. 첫째, 스마트 거점을 조성한 거점형 스마트도시이다. 도시 전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 솔루션을 개발ㆍ실증해 스마트도시 확산을 견인할 스마트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역특화 및 산업을 지원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하고 확산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도시서비스 보급을 지원한다.
올해는 스마트 거점 역할이 가능한 도시(특·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시·군) 1곳을 선정하며 선정된 지역에는 3년간 국비 최대 160억원을 지원(지방비 1:1매칭)할 계획이다. 이 사업을 통해 기업‧지자체 수요에 맞는 도시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공간규제특례와 규제샌드박스를 통한 기술규제 특례도 지원할 예정이다.
둘째, 환경변화 대응한 특화도시 조성형 강소형 스마트도시이다. 중소도시들이 기후위기‧지역소멸 등 최근의 환경변화에 대응력을 확보해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특화솔루션을 집약한 선도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친환경ㆍ탄소중립, 기후재해-zero 융ㆍ복합 특화도시를 만드는 '기후위기 대응형',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변화 대응과 지역산업 활력 지원 융ㆍ복합 특화도시인 '지역소멸 대응형' 등 2개 유형 중 신청 지자체가 자율 선택하며 총 3곳 이내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인구 100만명 이하 도시(특별자치시·도,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며 선정된 지역에는 3년간 국비 최대 80억원을 지원(지방비 1:1매칭)할 계획이다.
셋째, 보급형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이다. 스마트 주차공유, 스마트 버스 쉘터 등 효과성이 우수한 솔루션들을 전국에 고르게 보급해 많은 국민들이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선정된 지역에는 보급 솔루션과 함께 지자체 재량으로 특화솔루션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실증 경험이 있는 선행 지자체의 코칭, 전문기관의 컨설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인구 30만명 미만의 지자체(시·군·구)이며, 이번 공모를 통해 10곳 이내의 사업지를 선정하고 사업지 당 1년간 국비 10~20억원을 지원(지방비 1:1 매칭)할 계획이다.
오는 29일 공모 공고하는 솔루션 확산사업은 오는 5월 2일부터 7일까지 접수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평가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거점형 및 강소형 조성사업은 오는 5월 27일부터 29일까지 접수하고 평가위원회의 평가 등을 거쳐 6월 중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스마트도시 조성ㆍ확산 사업은 지자체가 시민, 기업과 함께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도시를 만들어가는 사업으로 기존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면서 "시민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고 다른 지역에도 확산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적극 제안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ㆍ확산사업 공모 관련 자세한 사항은 오는 29일부터 국토교통부 누리집 또는 스마트시티 종합포털 누리집에 게시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dbman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