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대보·신세계건설 등 올 들어 5개 건설사 신용등급 조정
부실시공 및 업황부진, PF부실, 분양시장 침체 등 영향
원가율 상승, 수주 감소에 실적부진 불가피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와 실적 부진에 건설사들이 무더기 신용등급, 등급전망 하향 조정을 받으면서 자금난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분양시장이 침체되면서 건설사가 진행하는 분양사업에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다. 미분양이 다시 늘어난 데다 매출 원가율이 적정선을 크게 웃도는 90% 초과하고 있다. 건설업황 부진이 장기화 국면에 들어선 만큼 건설업계의 유동성 문제가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부동산경기 부진과 부진하고 재무 불안이 지속되면서 올해 들어서만 5개 건설사의 신용등급 및 등급전망이 하향 조정됐다.
▲GS건설(A+→A) ▲대보건설(BBB-, 안정적→부정적) ▲한신공영(BBB, 안정적→부정적) ▲한국토지신탁(A→A-) ▲신세계건설 (A→A-) 등이다.
서울 종로구 GS건설 본사 모습. [사진=정일구 기자] |
GS건설과 대보건설은 작년 발생한 검단신도시 아파트의 주차장 붕괴사고가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단지를 다시 짓기로 하면서 6000억원 규모의 재시공 비용이 책정됐다. 지난달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GS건설의 장기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강등하고, 단기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내렸다. 최대 9개월의 영업정지 행정처분 부과로 사업 경쟁력이 약화했고 재무안정성이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렵다는 평가에서다. GS건설과 대보건설은 검단아파트 붕괴사고에 대한 책임으로 국토부로부터 8개월, 서울시·경기도로부터 각각 1개월의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바 있다.
한신평은 GS건설과 비슷한 이유로 대보건설의 무보증사채 신용 등급전망을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으로 하향했다. 대구 신서 '하우스디어반 메가시티' 오피스텔 사업 등 공사비 회수가 지연된 상황에서 자체 자금을 선투입하면서 재무부담이 가중된 상태다.
같은 달 한국기업평가는 한신공영(BBB)의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하락으로 재무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준공 현장 정산이익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와 원가, 인건비 부담 증가로 매출원가율이 상승했고 분양시장 경기 악화와 물가 상승을 감안할 때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이 어려울 전망이다.
이달 한신평은 정기평가에서 신세계건설의 신용등급과 전망을 'A, 부정적'에서 'A-, 안정적'으로 한 단계씩 낮췄다. 공사원가 상승, 미분양 사업장 관련 손실 인식으로 지난해 대규모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별도 기준 영업손실이 1878억원에 달한다. 특히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분양 실적 부진이 지속되면서 지난해 말 기준 매출채권이 충당금 반영 전 수준인 4529억원으로 확대됐다.
일부 건설사는 부실공사 등 개별적인 악재로 신용등급이 하락했으나 대부분은 PF 부실 리스크, 분양시장 침체, 원가율 상승 등이 악재로 작용했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면 분양시장의 사업장 악화로 이어져 PF 부실, 유동성 악화 등으로 이어진다. 한신평은 부동산 경기가 추가로 하락할 경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과 미분양으로 발생할 수 있는 건설사들의 전체 손실 규모가 5조8000억∼8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국적으로 미분양이 다시 늘면서 분위기 반전도 쉽지 않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3755가구로 전달 6만2489가구보다 2.0%(1266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2월 7만5438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9개월 연속 감소하다 지난해 12월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수도권은 1만 160가구로 전달 1만 31가구보다 1.3% 늘었다. 지방은 5만3595가구로 전달 5만2458가구와 비교해 2.2% 증가했다. 주택경기 악화로 건설사들이 분양일정을 대대적으로 미뤘다는 점에서 미분양에 대한 공포 지수는 더 높은 실정이다.
한신평 전지훈 기업평가본부 연구위원은 "지난해 전반적으로 수주액이 감소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건설사 매출은 올해 하반기부터 주택사업 중심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며 "PF 보증 및 미분양 리스크가 큰 건설사의 유동성 관리 수준과 부실 인식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