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먹통' 사태 이후 단독 대표이사 체제...안정성 강화 주력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CEO의 일거수일투족은 해당 기업 임직원은 물론 시장 투자자 등 많은 이해관계자의 관심사다. CEO 반열에 오른 사람들은 누구일까. 그들의 활약상을 연중기획 시리즈로 연재한다.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1963년생인 홍은택 카카오 대표이사는 언론인 출신으로 동아일보, 오마이뉴스 등을 거쳐 2005년 NHN에 입사하면서 IT 업계에 발을 들였다. 그는 2012년 카카오에 합류해 콘텐츠 및 커머스 사업을 이끌었으며, 2022년 7월 카카오의 각자 대표로 선임됐다.
◆ 단독 체제 1년…"기술·안정성·사회적 책임 강화"
홍 대표는 2022년 10월 남궁훈 전 대표가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서비스 먹통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면서 단독 대표를 맡게 됐다. 카카오는 홍 대표의 리더십 하에 기술과 서비스의 안정성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인프라 조직 강화 및 정보보호 투자 증가, 서비스 안정성을 위한 다양한 조치들을 취했다. 이를 통해 카카오는 재해 및 사고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다중화 및 장애 대비 훈련을 강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서비스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최근 카카오는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의 시세 조종 의혹, 카카오모빌리티의 시장 독과점 논란 등으로 또 다른 위기를 맞이했다.
이에 홍 대표는 준법 의무 위반 사항에 대한 내부 조사 요구권, 긴급 중단 요구권 등을 포함한 직접적인 제재 권한을 갖춘 준법감시기구를 설립하고, 카카오 공동체 내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 카카오모빌리티 문제에 대해선 가맹 택시 수수료 체계 개선, 택시 매칭 시스템 개선 등으로 카카오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한다는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
홍 대표는 이와 관련해 "SM 경영권 인수 과정에서 발생된 의혹에 대해서는 법정에서 충실하게 소명하고, 회사 경영의 구조틀을 다시 고민해, 조직적인 재정비를 진행하겠다"며, "또한, 사업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현재 추진중인 사업들을 차질없이 계획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엔 포털 '다음'의 뉴스 검색 페이지에서 콘텐츠제휴(CP) 언론사만 검색되도록 뉴스 정책을 변경해 논란이 일고 있다. 카카오가 정책을 일방적으로 변경한 것에 대해 정치권에서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김정호 경영지원총괄이 폭로한 '내부 비리'에 대해 홍 대표가 조사단을 꾸려 대대적인 감사에 착수한 상황이서 김 총괄이 지목한 '내부 카르텔'과도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 AI 기술 접목...'서비스 혁신' 경쟁
홍 대표는 카카오의 ESG 경영을 총괄하며 다양한 사회적 책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상생과 사회적 책임 경영의 일환으로 전통시장 상인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우리동네 단골시장' 농수산물 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제가버치' 프로젝트 등을 통해 소상공인과 파트너들과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동네 단골시장은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해 단골 손님을 만들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22년 전국 11개 시장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했으며, 현재 전국 111개 시장에 총 1582개의 카카오톡 채널이 개설, 약 23만511명의 카카오톡 채널 친구를 만들었다. '제가버치'는 공급 과잉이 예상되는 농축수산물의 판로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누적 거래액은 약 200억원에 달하며, 약 3930톤의 농축수산물을 판매했다.
홍 대표는 카카오의 대표 서비스인 카카오톡의 사용자 경험 개선에도 주력하고 있다. 2023년 5월부터 카톡이지 프로젝트를 통해 사용자의 대화 스트레스와 부담을 줄이고, 일상 속에서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데 집중하고 있다. 누구나 장벽 없이 안전하게 카카오톡을 사용할 수 있도록 카카오톡에 신규 기능을 추가하고 기존 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채팅방 조용히 나가기'를 비롯해 '조용한 채팅방', 전화번호로 친구 추가 허용 옵션 등 안전하고 편리한 카카오톡 이용을 위해 새로운 기능을 도입했다.
아울러 홍 대표는 인공지능(AI)를 통한 카카오톡의 혁신 또한 준비하고 있다. 이는 AI 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이 주도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다양한 파라미터 크기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통해 카카오톡 외에도 여러 서비스 영역별로 비용효율적인 AI로 성과를 내겠다는 게 그의 목표다. 특히, 카카오톡의 경우, 오픈채팅에 결합된 'AI 콘텐츠 봇'을 출시해 이용자들의 관심사를 마이크로 세그먼트로 촘촘하게 구분해 관심사에 부합하는 맞춤형 콘텐츠로 대화 맥락에 맞게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홍 대표는 이에 대해 "최근에는 모델 크기나 개발 속도 중심이 아닌, AI를 접목한 서비스 혁신의 경쟁으로 관심이 서서히 옮겨가고 있어 각 회사들이 영위하는 서비스, 확보한 고객 기반에 따라 상이한 경쟁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카카오는 전국민을 이용자 접점으로, 국내에서 연결이라는 맥락에 대해 가장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다. 카카오에서 구현할 AI 서비스는 사람과 사람의 연결을 넘어 사람과 AI를 연결하게 될 것이다"라고 자신감을 전하기도 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