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장기 휴장 임박 A주 살까..."4분기 반등 기대"

기사입력 : 2023년09월25일 16:15

최종수정 : 2023년09월25일 16:15

다수 기관은 특히 소비 섹터 낙관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증시가 부진한 가운데 장기 연휴 뒤의 증시 상황에 대한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분위기 쇄신을 노리는 듯 '반등'을 점치는 목소리가 높다.

중국은 중추제(中秋節·추석)와 국경절 연휴를 맞아 이달 29일부터 내달 6일까지 8일간의 장기 연휴에 돌입한다. 이에 맞춰 중국 증시 또한 29일부터 내달 8일까지 휴장한 뒤 9일 거래를 재개한다.

다수 기관은 역대 국경절 연휴 뒤 A주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연휴 직전 거래일보다 연휴가 끝난 직후 거래일에 상승했던 경우가 많은 것이 낙관적 전망을 키우고 있다.

중국 금융정보 플랫폼 윈드(Wind) 자료에 따르면 2013~2022년 10년 간의 국경절 연휴 전 5거래일 상하이종합지수는 대체로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연휴 직전 마지막 거래일 상승한 확률은 70%에 달했다.

연휴가 지난 뒤의 상승 확률은 더욱 높다. 연휴 뒤 첫 거래일 상하이종합지수가 상승한 경우가 80%에 달할 정도다. 국경절 연휴가 아니더라도 외부 환경에 중대 악재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연휴 직후 첫 거래일에는 A주가 상승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지난 10년 간 연휴 뒤 5거래일 간 상하이종합지수가 상승했던 경우가 70%를 차지했다고 정취안스바오(證券時報)는 짚었다.

연휴 전 증시의 부진은 유동성 줄어들고 거래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리스크 회피 심리가 강해지면서 연휴가 끝난 뒤에야 투자 심리가 살아나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시부(西部)증권은 "중국이 8일간의 황금 연휴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연휴 기간 해외발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투자자 심리를 교란시키기 쉽다"며 "때문에 연휴 전 주식 보유 비중을 줄인 뒤 연휴 뒤 비중을 늘리는 특징이 뚜렷해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휴 뒤 해외 리스크가 일단락 되고 연휴 기간 발표될 경기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한다면 시장 분위기를 끌어올릴 것"이라며 "과거 경험을 보더라도 투자 활성도가 국경절 전후로 '브이(V)자' 곡선을 그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사진 = 셔터스톡]

◆ 현지 기관들 "4분기부터 반등" 전망

중국 현지 기관들은 A주가 4분기부터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국경절을 기점으로 4분기에 돌입한 뒤 이듬해 초까지 상당한 폭의 상승세를 나타내는 게 중국 증시의 특징이기도 하다.

자오상(招商)증권은 "경기 안정 정책이 이어지고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 전망 또한 호전될 것"이라며 "4분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개시 시점이 가까워지고 위안화가 주기적인 절상 시기에 돌입하는 것 또한 외자의 A주 유입을 촉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내 부동산 위기와 소비 침체 등으로 경기 회복세가 예상에 미치지 못하자 외국인 투자자들의 중국 주식 매도 움직임이 강해진 상황이다. 주요 외신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8월 한달간 900억 위안(약 16조 4500억원)의 중국 주식을 팔아치웠다. 이달 1~21일까지의 순매도 규모도 230억 위안에 달한다.

창청(長城)증권은 "주택구매대출(주담대) 요건 완화 및 주담대 금리 인하, 부동산 구매 제한 완화 등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나오고 있고 지원 정책에 힘입어 살아난 내수가 통화정책 효과를 더욱 끌어올릴 것"이라며 "정부가 장기 자금의 증시 유입을 유도하고 신규 자금 역시 증시로 향할 것이라는 점, 각종 산업 육성 정책 잇따르고 있는 것도 증시 상승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수 기관은 특히 소비 섹터를 낙관하고 있다. 장기 황금 연휴에 더해 항저우(杭州) 아시안게임이 이어지면서 여행·외식·영화 등 업계가 특수를 누릴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다이빈(戴斌) 중국여유(여행)연구원 원장은 "올해 국경절 연휴 여행 열기가 역대 중 가장 뜨거울 것"이라며 "일평균 1억 명 이상이 여행을 떠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신젠터우(中信建投)증권은 올해 국경절 연휴 기간 영화표 판매액이 50억 위안 수준에 이를 것이라며, 코로나19 발발 이전인 2019년 세운 역대 최고치(44억 6600만 위안)을 웃돌 수 있다고 전망했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