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投稿】陈献春:大力实施新时代品牌建设工程

기사입력 : 2023년08월07일 14:39

최종수정 : 2024년04월12일 15:37

纽斯频通讯社首尔8月7日电 品牌是企业乃至国家竞争力的综合体现,代表着供给结构和需求结构的升级方向。在当前复杂严峻的国内外形势下,大力实施新时代品牌建设工程,具体重要的现实意义。

中国湖南省政府副秘书长,省政协常委、文教卫体和文史委员会副主任。【图片=湖南省政府提供】

一、实施新时代品牌建设工程是适应"品牌消费时代"的必然要求

当前,我们所处的时代已进入"品牌消费时代"。企业以品牌打天下、健全完善的市场监督体系、成熟的消费者群体,这三个标志共同支撑"品牌消费时代"。在这个时代背景下,品牌就是知名度、美誉度、忠诚度,是一种重要的无形资产。实施新时代品牌建设工程,不仅是推动我省经济高质量发展的重要抓手,也是创造高品质生活,更好为百姓美好生活服务的一项民生工程。加强品牌建设,不仅要为消费者提供物美价廉的品质好物,更需要努力构建健康的消费环境,为百姓的幸福生活增色添彩。

近年来,我省在加强品牌建设方面取得了明显成效,全省品牌体系正逐步健全,品牌覆盖率不断拓展,品牌层次加快提升,品牌环境明显改善。但仍存在一些突出问题,比如:产业优势未充分转化为品牌优势,品牌价值总体偏低,中高端自主品牌不多,区域特色形象不够鲜明,品牌竞争力不强,品牌发展的动能不足等。为此,去年10月湖南省人民政府办公厅印发了《湖南省品牌建设工程行动计划》(湘政办发〔2022〕56号)(以下简称《计划》,当前全力以赴抓紧抓好《计划》的贯彻落实,对进一步激发消费潜力和活力,促进品牌消费,具有重要的促进作用。

二、坚持系统观念,运用系统方法,加强品牌建设

品牌建设是一项系统工程。要以强烈的品牌意识推动品牌建设,以品牌建设铸造品牌质量、引导品牌消费、创造品牌价值。只有牢固树立品牌意识,加强品牌建设,才能准确把握市场动向,实施品牌战略,促进品牌消费。

品牌建设是对一个品牌体系的构建。这个品牌体系由总体形象品牌以及支撑总体形象品牌的区域品牌、城市品牌、产品品牌、企业品牌和人物品牌等构成。要严格按照经济规律办事,运用系统方法,持之以恒地对包括品牌定位、品牌规划、品牌形象、品牌主张和品牌价值观等进行统筹谋划。
就企业品牌而言,品质和可信度、创新和创造力、社会责任和环境保护,是企业品牌所代表的三个最重要的价值观,它涵盖了企业的宗旨、愿景、使命和文化等多个方面。这三大核心价值可以为品牌打造具有竞争力的独特企业形象,取得消费者和合作伙伴的信任和认可,进而实现企业的战略目标和商业价值。

就湖南品牌而言,要提升湖南品牌在海内外的知名度、美誉度和影响力,这是一项跨部门、跨行业、跨地区的系统工程,仅靠某个单一部门做不了。要坚持政府引导、行业指导、企业主导、市场化运作原则,坚持上下联动、部门协同、属地负责原则,坚持区域合作、行业联合、产业融合原则,全面整合政府有关部门、行业协会、经营主体和新闻媒体等资源,培育协作意识和团队精神,加强统筹协调、凝聚共识、合力攻坚,强力推进《计划》提出的湖南名品引领、行业品牌提升、品牌强基固本、品牌宣传推广和品牌成长护航"五大行动"。特别要抓好行业品牌提升行动中提出的打造政府质量奖标杆、建设农产品品牌体系、壮大高端装备制造品牌、培育优质服务品牌、发展建筑工程品牌、振兴老字号品牌等"六大重点工作"。

三、全力优化品牌创新发展环境

实施新时代品牌建设工程,品牌创新是关键。品牌创新不仅包括企业产品和服务创新,也包括企业文化的创新和组织结构的创新,还包括政府公共管理和服务的创新。只有将创新精神贯穿到企业发展和政府公共管理服务的全过程,才能实现真正的品牌创新。要准确把握高质量发展这个首要任务,坚持技术创新与制度创新"双轮驱动",切实优化公共资源特别是财力资源配置,更为有效地引导企业开展产品技术创新、商业模式创新和经营管理创新,重构企业参与国内外市场供给的质量和效率。切实推动政府职能转变与管理创新,着眼打造国内一流创新生态,加速重构创新政策,系统重塑创新平台,进一步营造创新氛围,切实提供创新服务,为优化品牌创新发展环境提供根本保障。

(本文作者系湖南省政府副秘书长,省政协常委、文教卫体和文史委员会副主任)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