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발생 예측 시스템' 활용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서울시가 여름철에도 맛있는 물 생산을 위해 수질검사 주기를 강화하고 '조류 발생 예측 시스템'을 활용해 남조류 발생을 대비하는 등 수질 관리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시는 자체적으로 수돗물의 맛·냄새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특별관리한다고 설명했다. 원수에서 맛,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이 관리기준을 초과해 유입될 경우 정수처리 공정 운영과 수질검사 주기를 강화한다.
![]() |
서울 구의아리수정수센터의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
지난해 구축한 '조류 발생 예측 시스템'을 활용해 팔당댐 하류부터 잠실 수중보까지 상수원에 유해 남조류 발생을 대비한다.
이 시스템은 기상, 유량, 수질 자료 등을 3차원 수치 모형에 입력하면 서울시 4개 취수장(강북·암사·자양·풍납)의 유해 남조류 세포 수 농도 변화를 1주 전에 알 수 있다.
또 조류 예측 정보를 강북, 암사, 자양, 풍납 4개 취수장에 신속히 전파해 우수한 원수 확보와 투입 약품 양 조절, 소독 및 오존 처리 강화 등 정수처리 시설 운영에 반영한다.
현재 시는 환경부가 시행하는 조류경보제에 연중 참여해 매주 한강 상수원 4개 지점에서 9개 항목 수질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만약 조류경보제 '경계' 단계 이상 발령되면 주 2회 이상 검사 주기를 강화한다.
지난해 여름 한강 상수원은 조류경보제 기준 이하였다. 지난 2000년 조류경보제 시행 이래 현재까지 총 8회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이외에도 시는 올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빅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취수한 물의 맛·냄새 물질 농도를 예측하는 모델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손정수 서울물연구원장은 "여름철에도 시민들께 건강하고 맛있는 수돗물을 생산‧공급할 수 있도록 철저한 상수원 모니터링과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조류 발생 예측 정보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