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업계, 경력직 인력 태부족
"해외 및 지방근무 꺼려...맞벌이도 한몫"
업계, 해외공장 증설...현지채용 역부족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요즘 해외근무 지원하는 젊은 세대들이 많지 않아요. 과거에는 해외 근무자 선발 경쟁률이 높았지만 요즘은 맞벌이하는 부부들이 많아서 그런지 해외근무 심지어 지방근무도 꺼려합니다"
해외와 지방 근무 인력 구하기가 예전보다 더 힘들어졌다는 한 대기업 임원의 얘기다. 해외 근무 후 크게 얻을 이익도 없고 사기업의 경우 해외 근무자는 승진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해지면서 지원자가 줄었다는 것이다.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2023.01.10 aza@newspim.com |
최근 소위 '잘 나가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업계의 최대 관심거리는 자금조달과 인력채용이다. 관련업계 안팎에선 전기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배터리업계의 공급이 완성차업체의 수요에 못따라가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원활한 배터리 공급을 위해서는 공장설비 투자와 숙달된 인력 채용이 필수인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나마 올 들어선 배터리업계의 자금조달 숨통이 조금씩 트이고 있는 분위기다. 사모펀드 등 글로벌 투자자들의 배터리업계에 대한 시선이 달라지면서 경기침체와 고금리 상황 지속에도 어느정도 자금조달 어려움이 해소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배터리업계의 인력부족 현상은 여전히 풀어야할 '난제'로 떠오르고 있다. 커지는 시장에 비해 숙력된 경력직 인력은 텃없이 부족한 탓이다.
한국전지산업협회는 2020년 말 기준으로 국내 업계에 부족한 석·박사급 인력은 1000명 이상으로 학사까지 포함하면 약 3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배터리업계 자체적으로도 꾸준한 연구개발(R&D)을 통해 인력을 육성해오고 있다. 대학과 손잡고 직접 인력 양성에 뛰어들었다. 장학금과 채용연계라는 '당근책'을 내밀었지만 우수인력 확보에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단기간 내 경력직 못지 않은 숙련된 인력을 배출하기란 쉬운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배터리업계에서 인력이 중요한 이유는 배터리 품질 향상 및 공장 수율(완성품 비율) 문제와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우수인력들이 해외나 지방 근무를 꺼리다 보니 배터리업계의 인력 확보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배터리 업계의 해외 공장은 주로 현지 도심과 거리가 먼 한적한 외곽에 위치하고 있는데다, 맞벌이 부부가 점점 늘면서 가족 단위로 해외든 지방이든 이동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런 이유 등으로 국배 배터리업계는 차선책으로 해외 현지 채용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상황은 녹록치 않다. 과거 인력 유출에 따른 LG와 SK의 '배터리 소송' 분쟁이 불거진 이후 국내 업체 간 인력 쟁탈전은 누그러졌지만 중국, 일본 등 경쟁기업들이 여전히 높은 몸값을 제시하며 고급 인력을 노리고 있어서다.
지동섭 SK온 사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 후 가진 간담회에서 생산성 향상 방안으로 숙련도 높은 인력의 중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현지 근로자를 어떻게 훈련, 교육시켜서 안정화시키느냐가 중요하다"며 "숙련도 높은 오퍼레이터의 비중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느냐, 숙련도 높은 인적 구성 비율을 얼마나 빨리 끌어올리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인력부족 현상은 비록 배터리업계만의 문제만은 아니다. 하지만 국내 배터리업계에서 인력확보가 시급한 건 타 경쟁사 대비 발빠른 시장 선점을 하기 위해서다. 특히 2차배터리가 반도체, 휴대폰, 자동차산업과 같이 수출효자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이 주축이 돼 지역단체나 정부가 함께 나서 인력난 해결에 적극 동참해야 하는 이유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