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 확진자 559만, 재감염률 15%
위중증 병상 부족, 취약계층 위험 노출
공공의료 강화에 6000억여원 투자
다사다난했던 임인년이 끝자락에 접어들었다. 민선7기를 마무리하고 민선8기의 시작을 알린 서울시에도 다양한 이슈들이 이어졌다. 사상 첫 '4선' 서울시장으로 '약자와의 동행'을 선언한 '오세훈 2기'를 시작으로 안전불감증에 경종을 울린 '이태원 참사', 협치보다는 갈등으로 얼룩진 민선8기 출범, 수많은 과제를 남은 코로나 팬데믹 등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2022년을 관통한 주요 사안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서울=뉴스핌] 채명준 기자 = 국내 코로나19 발생 만 3년이 지나고 있다. 지난 9월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이어 지난 23일에는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 사항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상을 밝히기도 했을 정도로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3년간 코로나는 막대한 재산 피해는 물론 적지 않은 사망자를 발생시켰고,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서울시의 돌봄·의료 등 각 분야의 취약성을 노출시켰다. 이번 위기를 약점 보강의 기회로 삼아 향후 유사한 상황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서울시결산] 글싣는 순서
1. '4선' 오세훈 시대 개막, 본격화된 '약자와의 동행'
2. 슬픔과 애도 '이태원 참사', 근본적 안전대책 '시급'
3. TBS에 시민예산까지...갈등으로 이어진 시정개혁
4. 서울시민 60% '확진', 과제 남긴 코로나 팬데믹
서울시 코로나 누적 확진자 수는 560만명에 육박한다. 이는 시 전체 인구의 약 60%에 해당하는 수치로 시민 10명 중 6명은 코로나를 이미 거쳐 간 셈이다. 게다가 재감염율은 계속해서 늘어나 현재 약 15%를 기록 중으로 역사적이고 기록적인 전염병이다. 아울러 누적 사망자 수는 6023명에 달한다.
여전히 감염자 수는 12월 평균 1만여명을 기록하며 기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높은 백신 접종률(▲1차 88.7% ▲2차 87.8% ▲3차 64.8% ▲4차 13.5%) 및 집단 면역이 형성되며 안정기에 들어섰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전례 없이 강력한 전염력을 가진 코로나는 서울시 행정의 '약한 고리'를 가볍게 부숴버렸다.
특히 공공의료 부문의 취약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우선 전체 병상 중 공공병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단 10.3%에 불과해 민간병상 쏠림현상이 심했다. 아울러 절대적인 일반 병상 및 중증환자 병상의 수가 부족해 컨테이너에 임시 병상을 지어야 했다.
또한 아동·노인·노숙인·장애인·투석환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피해가 더욱 컸다. 시립병원들이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여기에 의존하던 취약계층의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6일 오후 전남 무안군에 마련된 임시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2022.12.07 ej7648@newspim.com |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는 신속한 대면진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외래진료센터를 확충하고, 요양시설 내에는 '의료 기동전담반'을 운영하며, 위중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전담병원'을 운영하는 등 부족한 의료 인프라를 상쇄하기 위한 노력을 기했다.
특히 제2의 코로나 사태에 대비해 2026년까지 6120억원을 투자해 동남권에 서울형 공공병원을 건립하는 등 대대적인 공공의료 강화를 추진 중이다. 서울형 공공병원은 600병상 규모로 서초구에 건립해 위기 상황에는 전국 최초로 위기대응 전담병원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환자 폭증으로 인한 병상부족 상황에 대비해 지하주차장 등 유휴공간에 임시병상을 100개 이상 설치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또한 감염병 전문센터도 별도로 갖추며, 만성질환·중증치료 등 필수 진료과 중심의 진료체계를 갖춰 취약계층을 보호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이번 코로나 사태에 드러난 '약한 고리'를 강화해 또 다른 재난 상황 발생 시 '비상', '임시' 조치가 필요치 않도록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Mrnobod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