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뉴스핌]김나래 특파원=기타 고피나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부총재는 중국 경제의 하향 조정이 세계 경제 전망에 있어 10월 이후 가장 큰 변화라고 밝혔다.
6일(현지시간) 고피나스 부총재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중국의 전망이 눈에 띄게 어두워졌다"며 "예상대로 중국은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가 계속되고 있고 부동산 부문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
국제통화기금(IMF) 본부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특히 예상하지 못한 것은 민간 소비가 약해지고 노동력도 줄고 생산성도 떨어졌다는 점이다. 그는 전반적으로 2023년 세계 경제는 올해보다 나쁠 것으로 전망했다.
고피나스 부총재는 "IMF의 중기 전망치는 10월 6%에서 4.6%로 하향 조정됐으며 1월에는 더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헀다.
IMF는 지난 10월 세계 경제성장률이 2021년 6%에서 2022년 3.2%, 2023년 2.7%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다음 달에 업데이트된 예측을 발표할 예정이다.
고피나스 부총재는 "2023년으로 접어들면서 세계 경제가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다"며 "미국 경제는 2023년에 평균 1% 성장해야 하며 경기 침체를 피할 가능성은 정말 낮다"고 밝혔다.
미국 실업률은 현재 3.7%에서 2024년까지 5% 이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보통 경기 침체를 의미 할수 있다는 진단이다. 또 그는 유럽에서 유로를 사용하는 국가의 약 절반이 올 겨울 위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그는 앞으로 몇 달 동안 금융 시장에서 많은 우여곡절을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고피나스 부총재는 "우리는 시장의 다양한 채널에서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예컨대 연준이 언제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정책 전환을 할 수 있는지는 시장의 잘못된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연준에서 금리 인하를 생각하는 것은 정말 시기상조"라며 "연준이 얼마나 오랫동안 높은 금리를 유지하느냐"라고 덧붙였다.
ticktock032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