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덴마크·美·獨, 배후로 러시아 지목
"에너지 가격 올려 우크라-서방 연대 끊는다는 구상"
대서양 해저 케이블 차단 위협이란 해석도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과 '노르트스트림-2'의 발트해 해저관 3개에서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이번 사고가 자연 발생한 것이 아닌 특정 의도를 가진 누군가의 '자작극'일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하고 있다. 배후로는 러시아가 지목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덴마크 당국이 노르트스트림-2 해저관 1개에서 가스 유출이 있었다고 밝힌 데 이어 27일에는 스웨덴 해상 교통 당국이 노르트스트림-1 해저관 2개에서 가스 유출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후 27일 두 가스관 운영사 노르트스트림 AG가 해전과 3개가 손상됐음을 공식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가스 유출이 '고의적'인 것일 수 있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스웨덴 웁살라대학 지진학자 피에테 슈미트는 독일 공영 방송 도이치벨레(DW)에 "(가스 유출 같은)강력한 에너지 방출은 자연발생으로 보기 어렵고 인공적인 폭발일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밝혔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도 의도적인 해저관 손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다. 3개의 해저관에서의 동시다발적인 가스 유출이 우연이라고 상상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가스 누출 사고 원인 조사가 향후 수 주 동안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스웨덴·덴마크·독일·미국은 이번 사고를 러시아의 사보타주(파괴공작·sabotage)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일을 벌일 만한 충분한 동기를 가진 유력 배후로 러시아가 유일하다는 주장이다.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천연가스관 '노르트스트림-1'과 '노르트스트림-2'. 사진 속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된 것이 가스 누출 지점이다. [사진=DW] |
◆ "에너지 가격 올려 서방과 우크라 연대 끊기 위한 자작극"
서방이 러시아의 사보타주 의혹을 제기한 근거 중 하나는 가스 유출이 발생한 시점이다. 27일은 노르웨이와 폴란드를 잇는 새로운 가스관 '발틱 파이프'가 개통한 날이다. 러시아가 유럽에 어떤 '경고성 메시지'를 보내려 했다면 이날만한 적기가 또 없다는 관측이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이번 가스 누출이 러시아의 소행이 맞다면 천연가스 수요가 큰 겨울을 앞두고 러시아가 발틱 파이프를 공격할 수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를 보낸 것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서방의 경제 제재 완화를 요구하는 '시위' 성격이 짙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 대통령은 지난 16일 "서방이 경제 제재만 푼다면 당장이라도 노르트스트림-2를 가동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노르트스트림-2의 경우 러시아가 지난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독일이 사용 승인을 하지 않아 한 번도 가동되지 않았지만 노르트스트림-1은 지난달 31일부터 가동이 중단됐다. 노스트림-1 공급 중단과 관련해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로 정비 수리에 필요한 부품을 수입할 수 없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었다.
벤자민 슈미트 전 미 국무부 유럽에너지안보 고문은 독일 일간 타게스슈피겔(Tagesspiegel)의 보도를 인용 "러시아가 자작극을 꾸며 놓고 이번 공격의 배후로 우크라나 미국·독일 등 서방을 지목함으로써 에너지 시장에 불확실성을 키워 가격 상승을 노린 것일 수 있다"며 "더 나아가 정치적 불확실성을 키워 우크라와 서방 간 연대를 끊으려는 시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덴마크 인근 해역에서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에서 누출된 천연가스가 분출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 러, 북미-유럽 횡단 해저 케이블도 위협
주목할 만한 점은 가스관 이외의 또 다른 해저 기간시설 파괴 위협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해저에는 천연가스관 외 다른 기간시설이 있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등 유럽 발트해 연안 국가들이 해저 케이블로 하나의 전략망을 공유하고 있고, 인터넷·통신 케이블도 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일각에서는 러시아의 사보타주를 '해저 케이블을 끊을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한다"며 "러시아가 잠수정 장비로 해저 통신 케이블을 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지는 이미 오래됐다"고 전했다.
특히 대서양 해저에 깔린 케이블은 북미와 유럽 간 인터넷 통신을 잇는다. 북미와 유럽 간 수 조 달러의 금융거래가 가능한 것도 해저케이블 덕분이다. 끊긴다면 서방의 경제·사회적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
프랑스24에 따르면 세계 해저에는 약 430개의 케이블이 존재한다. 덴마크국제학연구소의 IT 보안 전문가 토비아스 리베터는 "해저 케이블은 큰 정원의 호스들이 서로 엉켜있는 모양"이라며 "안타깝게도 특별한 보안 장치는 없다. 주변에 위협이 있을 때 경고가 울리는 통합 감시 체계만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러시아가 케이블을 겨냥한 사보타주 작전을 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코펜하겐대학의 크리스티안 버거 해상안보 전문가는 말한다. 그는 "선박이 케이블이 위치한 부근에 접근해 단순히 닻을 내리거나 잠수부 또는 잠수함이 케이블에 도달해 폭발물을 설치하고 원격으로 터뜨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러시아는 대서양 케이블 주변에서 해상 수색 활동을 한 이력이 있다는 점에서 특히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토니 라다킨 영국 국방참모총장은 러시아가 우크라를 침공하기 전인 지난 1월 초에 "러시아가 지난 20년 동안 잠수와 해저 활동을 급격히 늘렸다"며 "세계 해저 케이블과 전 세계 정보 시스템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도 올해 초 러시아의 세계 해저 케이블 공격 가능성에 대한 분석 기사를 내보낸 바 있다.
DW는 "이번 가스 유출은 유럽 에너지가 러시아의 우크라 침공을 기점으로 얼마나 정치화됐는지를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