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세계 경제전망 수정치 발표
[세종=뉴스핌] 성소의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5%에서 2.3%로 내려잡았다. IMF의 이번 전망치는 정부와 한국은행 등의 주요기관들의 전망치 가운데 가장 낮았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26일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3%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4월 IMF가 발표한 전망치(2.3%)보다 0.2% 포인트(p) 내린 규모다. 내년도 경제성장률은 지난 전망치(2.9%) 대비 0.8%p 내린 2.1%로 제시했다(그래프 참고).
IMF가 이날 발표한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은 정부와 한국은행,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전망 가운데 가장 어둡다.
[자료=기획재정부] 2022.07.26 soy22@newspim.com |
주요 기관의 올해 한국 경제 성장 전망을 보면 한은과 OECD 2.7%, 정부 2.6%, IB 평균 2.8%, 피치 2.4%, 무디스는2.5%, 스탠더드 앤 푸어스(S&P) 2.6% 등이다.
다만 정부는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효과로 다른 주요국에 비해 하향 조정폭(-0.2%)이 크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성장 전망 조정폭이 가장 큰 국가는 미국(-1.4%)이었다. 영국(-1.2%)과 중국(-1.1%)도 전망치를 1% 이상 대폭 내려잡았다. 한편 이날 발표된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7%)는 이번 수정 전망에 반영되지 않았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지난 4월 전망치(3.6%)보다 0.4%p 낮춘 3.2%를 제시했다. 내년도 성장률은 이보다 조정폭(-0.7%p)이 더 큰 2.9%로 전망했다. IMF가 세계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한 이유는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중국의 성장 둔화, 전쟁과 코로나 영향 때문이다.
특히 선진국의 성장 전망이 신흥국보다 어두웠다. 미국이 강력한 통화 긴축 정책을 펴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력도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고, 유럽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과 통화 긴축정책 영향으로 성장이 더딜 것이라는 평가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 2.3%, 독일 1.2%, 프랑스 2.3%, 스페인 4.0%, 이탈리아 3.0%, 영국 3.2%, 일본 1.7%, 캐나다 3.4%, 한국 2.3% 등이다.
신흥국의 경우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성장률을 낮췄고, 인도도 대외여건 악화와 빠른 통화긴축으로 하향했다. 특히 올해 2분기 중국 성장률은 코로나19 직후인 지난 2020년 1분기 성장률(-34.4%) 이후 최저 수준을 예상했다. 나라별로는 중국 3.3%, 인도 7.4%, 러시아 6.5%, 브라질 1.7%, 사우디아라비아 7.6% 등이다.
IMF는 주요국들의 인플레이션도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은 지난 전망치와 같은 7.7%를 제시했다. 유럽은 지난 전망치보다 2.0%p 상향한 7.3%를 전망했다. 일본은 지난 전망 대비 0.8%p 올린 1.8%를 예상했다.
[자료=기획재정부] 2022.07.26 soy22@newspim.com |
미국과 영국 등 주요국들이 지난 5월과 6월에 걸쳐 40년 이래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한 것을 반영한 결과다. 유럽도 2002년 통합된 이후 인플레이션율이 최대치를 찍었고 개발도상국도 올해 2분기만 9.9%를 기록했다.
다만 IMF는 각국의 유동성이 회수되고 정책금리 인상 속도도 빨라지고 있어 내년도 3분기를 정점으로 오는 2024년 말에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고물가와 에너지·식품가격 상승, 신흥국 부채 증가, 중국의 지속적인 봉쇄조치 등 하방리스크도 동시에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IMF는 인플레이션 대응에 정책 우선순위를 두라고 권고했다. 단 국가별 상황에 따라 통화, 재정, 구조개혁의 적절한 조합도 구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통합정책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높은 국가는 단기적으로 경제활동이 감소하거나 실업이 증가하는 등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과감한 통화 긴축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재정정책과 관련해서는 인플레이션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일시적인 선별지원을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다만 재정정책은 중기재정운용계획 범위 내에서 예산 중립적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 밖에 기업 파산과 회생지원을 강화한 금융정책과 대외적으로는 식품·에너지는 수출금지 등 무역장벽 제거, 취약국 채무 부담 경감을 위한 주요 20개국(G20) 채무 재조정, 저탄소 경제로 이행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soy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