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中 해상풍력 테마주 전망 '맑음'...7월 들어 11% 상승

기사입력 : 2022년07월18일 15:02

최종수정 : 2022년07월18일 15:02

[서울=뉴스핌] 구나현 기자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이 시대적 과제로 부상한 가운데 2025년에 이르면 중국 해상풍력발전이 지금보다 150% 더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발표됐다.

17일(이하 현지시간) 데이터 제공 업체인 수쥐바오(数据宝)는 영국 조선 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의 보고서를 인용해 2025년 중국의 해상풍력발전 설비용량이 지금(24GW)보다 150% 오른 60GW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기준 중국의 해상풍력발전 설비용량은 24GW로 세계 1위(45%)다. 중국의 해상풍력 단지는 총 102곳으로 집계됐다.

중국 톈진(天津) 빈하이신구(賓海新區)에 위치한 풍력발전소. [사진=신화사 뉴스핌]

풍력발전은 크게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으로 나뉜다. 해상풍력은 육상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고 주민 반대와 자연 파괴 우려가 적다는 점에서 미래 에너지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2021년 중국 풍력발전 신규 설비용량은 47.57GW로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지만 해상풍력발전 신규 설비용량은 16.90GW로 1년 새 452.29% 수직 상승했다.

정부의 신에너지 확대 의지에 힘입어 중국의 해상풍력발전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중국 정부가 2025년까지 비화석 에너지 비중을 2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자 지방정부들이 잇따라 해상풍력발전 확대 정책을 발표했다.

광둥(廣東), 푸젠(福建), 장쑤(江蘇) 등 연안지역 정부가 발표한 발전 계획에 따르면 중국은 2025년까지 약 100GW 이상의 해상풍력발전 설비를 건설할 것으로 예측된다.

14차 5개년 계획 기간(2021~2025년) 광둥성은 17GW, 푸젠성은 10.3GW, 장쑤성은 12.12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을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둥성은 해상풍력발전을 5대 사업 중 하나로 규정하고 2025년까지 해상풍력 10GW 착공, 5GW 가동을 목표로 제시했다.

쓰촨(四川)성 옌위안(鹽源)현의 풍력발전소. [사진=신화사 뉴스핌]

해상풍력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은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증권시보에 따르면 16일 기준 7월 중국 본토 증시에 상장된 해상풍력 테마주의 평균 주가 상승폭은 11.49%에 달했다.

그중 신재생에너지 솔루션 제공업체 난왕커지(南網科技∙688248.SH)가 73.57%로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이어 헝룬구펀(恒潤股份∙603985.SH)과 샹뎬구펀(湘電股份∙600416.SH), 건투에너지(建投能源∙000600.SZ) 등이 20% 이상 올랐다.

상반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10개사 중에 순이익 흑자기업은 6곳으로 집계됐다.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기업은 중국 최대 해저 케이블 업체 중톈커지(中天科技∙600522.SH)다. 중톈커지는 해상풍력발전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광케이블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결과라며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80~716% 오른 17억~20억 4000만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gu1218@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