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로열티' 받는 방식으로 초기 투자 위험↓
한류 열풍 타고 동남아·중앙아시아로 영토 넓혀
K푸드·서비스 다각화 등 '차별화'가 앞으로 과제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CU가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 점포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CU가 글로벌 편의점 브랜드 1위인 세븐일레븐이 선점하지 못한 국가를 대상으로 점포 수를 빠르게 늘리고 있다는 평이다. 이는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세븐일레븐과 차별화하기 위해 편의점 시장 태동기에 있는 국가를 중심축으로 잡는 영업 전략을 구상한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의 주 고객인 2030 인구가 많지만 경쟁자가 적은 동남아와 중앙아시아가 대표적이다. 몽골CU는 매장 수와 매출 순위로 1위다. 세븐일레븐은 매장 수로 말레이시아 1위지만 CU가 매장 면적당 매출은 5배 더 높다. 세븐일레븐은 아직 몽골에 진출하지 않았다.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2022.04.22 aaa22@newspim.com |
◆ 몽골CU, K팝 열풍에 하루 평균 1000명 매장 방문...한국의 3배
24일 업계에 따르면 CU는 해외에선 후발 업체지만 공격적으로 매장 수를 늘리고 있다. 2018년 4월 몽골에서 최초로 편의점을 연 서클K가 CU측에 지난달 철수 의사를 타진했다. 북아메리아계 편의점 브랜드인 서클K(CIRCLE K)를 CU의 파트너사인 '센트럴 익스프레스'가 인수하면서 매장 수가 더 늘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몽골 편의점 시장에서 공격적인 점포 확장 끝에 200호점을 달성하면서 몽골 내 1위 자리를 굳혔다. 몽골에서 세 자릿수 매장을 가진 편의점은 CU가 유일하다. 현재 몽골에 진출한 편의점 업체는 GS25(55곳·2022년 기준)와 현지 편의점인 에코익스프레스(12곳·2019년 기준) 등 3곳이다.
CU가 몽골에 진출한 2018년 8월부터 2020년 100호점을 개점하기까지 2년 2개월이 걸렸다. 초기 개점 수의 2배인 200호점(CU보양트오카점)을 내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절반에 가까운 1년 6개월이다. 2025년까진 500개 넘는 편의점 개점이 목표다.
CU가 몽골에서 단기간에 영향력을 키울 수 있었던 이유는 '한류 열풍'과 '차별화'에 있다. BTS 등 K팝 인기를 겨냥해 'K 편의점' 콘셉트로 매장을 운영했다. 매장 내 제품의 절반 이상이 한국 제품이다. 200곳에 이르는 매장에 방문하는 손님 수는 한국의 3배인 1000명을 넘는다.
몽골식 찐빵인 '보즈'와 전통 만두 튀김인 '효쇼르'를 편의점 상품으로 개발하는 등 현지 맞품형 상품도 개발했다. 점포 크기도 한국보다 더 크다. 몽골 내 CU편의점 규모는 약 30~50평대다. 또 시식 공간이 전체 매장의 20~30% 이상을 차지하는 등 매장 내 취식이 용이하도록 했다.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배달 서비스도 도입해 1년 만에 누적 이용 건수 150만 건을 기록했다. 몽골 내 편의점 중 배달 서비스를 가진 곳은 CU가 유일하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지난해 몽골 CU의 매출은 전년 대비 80%가량 신장했다.
즉석 원두커피인 'GET커피'도 하루 평균 점포당 200잔 이상 팔리는 등 인기가 높다. 몽골에서도 커피를 즐기는 문화를 만드는 등 새로운 트렌드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평이다. CU 관계자는 "'몽골의 스타벅스'로 불릴 만큼 커피의 인기가 높다"며 "몽골 시장 진입 초기에 유제품과 채소를 선호하는 몽골 소비자 니즈를 파악해 한국 라떼와 토스트 등을 현지 입맛에 맞춰 편의점 상품으로 개발했다"며 "베이커리와 레스토랑 등 현지 기업들의 협력 러브콜이 많다"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몽골과 말레이시아는 베트남과 대만에 이은 신흥개발국으로 일종의 '신시장'"이라며 "해당 국가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등 상권 규모가 커져야 편의점 시장도 커진다"고 말했다.
[사진=BGF리테일] 신수용 기자 = 몽골 울란바토르에 있는 '징기스칸 국제공항'에 위치한 CU. 2022.04.22 aaa22@newspim.com |
◆ 말레이시아 진출 1년만에 편의점 목표 개점 수 2배이상 달성
전체 편의점 매장 수가 4만개를 넘어서는 등 포화상태에 이른 내수 시장과 달리 동남아와 중앙아시아 국가는 편의점 시장 발달 초입기라는 평이다. 한류 열풍도 편의점 업계가 해외로 눈을 돌리는 주요 요소 중 하나다.
CU는 말레이시아 기업인 '마이뉴스 홀딩스'의 자회사 'MYCU Retail'과 지난해 4월 마스터 프랜차이즈(이하 MFC) 계약을 체결하며 말레이시아에도 진출했다.
MFC는 가맹 사업자가 현지 기업에 실질적인 운영권을 맡기고 운영 방식을 알려주고 브랜드 로열티를 받는 방식이다. 몽골CU의 운영방식도 이와 동일하다. MFC는 가맹점을 확대하는 직접 투자방식보다 현지 파트너 통해 점포를 확대하는 간접 투자 방식으로 초기 비용과 투자 위험이 낮다. 현지 기업과 진입장벽을 낮추고 부지 확보 등 복잡한 행정절차도 피할 수 있다.
CU가 해외 사업을 확대할수록 세븐일레븐과의 경쟁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세븐일레븐은 지난해 기준 미국과 한국뿐 아니라 중국·대만·태국·필리핀·싱가포르·인도 등에 8만개에 달하는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단기적으론 한국 인근 국가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아시아를 넘어 다양한 지역의 국가 진출도 검토하고 있다"며 "세븐일레븐 등 글로벌 편의점 브랜드와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CU는 1년 내 말레이시아에서 50여개 점포를 출점한다는 목표였지만 현재 90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1년도 안 되어 목표치의 2배에 가까운 성과를 낸 셈이다. 매장 면적당 매출도 세븐일레븐보다 5배 높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세븐일레븐은 이미 아시아 전역에 매장을 갖고 있다"며 "동남아와 중앙아시아에 진출한 편의점 대부분이 도심지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소 도심에는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업계에선 세븐일레븐이 글로벌 편의점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K푸드와 서비스 다각화가 차별화 요소가 될 것으로 보고있다. 임용균 광운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편의점에서 은행 업무와 공문서 출력 등을 이용할 수 있을 만큼 K편의점의 역량이 크다"며 "당장은 어렵더라도 해당 국가의 인프라 발전 수준에 따라 이를 실현해 나간다면 세븐일레븐에 맞서는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