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리퍼트 전 대사 북미 대관으로 영입
관료·기업인 영향 풍부...삼성·백악관 가교 역할
미국 전방위 압박에 글로벌 경영환경 '살얼음판'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미국 정부 동향 파악에 나선 기업들이 백악관 출신 핵심 인사 영업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기업 경영에 미국의 입김이 점차 세지면서 미국 정부의 의중을 파악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미중 무역분쟁과 공급망 리스크를 겪으며 미국은 자국 투자를 유도하는 한편 해외 기업들의 인수합병(M&A)을 무산시키 는 등 강력한 제재 조치로 기업들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 미국 정부의 동향을 미리 파악해 투자 방향을 결정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가부산 해운대구 우동 영화의 전당에서 열린 제 21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 행사에서 레드카펫을 밟고 있다. yooksa@newspim.com |
◆삼성, 대표 '친한파' 리퍼트 전 대사 영입..美 정부와 가교 기대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마크 리퍼트 전 주한 미국대사를 북미지역 대외 업무 총괄 임원으로 영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사업 방향이 바뀌는 만큼 미국 정부와 직접 소통이 가능한 인사가 필요했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리퍼트 전 대사는 정부와 삼성의 소통 창구 역할을 적절히 해낼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관료 경험 뿐 아니라 기업인으로서 경력도 탄탄하게 쌓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리퍼트 전 대사는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로 꼽힌다. 오바마 대통령이 상원의원이던 2005년부터 그를 보좌해왔고, 오바마 행정부에서 외교안보정책 수행에 기여해 왔다. 오바마 정부가 들어선 후 국방부 아태 담당 차관보, 국방장관 비서실장 등을 지냈다.
당시 리퍼트 전 대사는 '전문성과 지식을 겸비한 훌륭한 분석가'라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2014년부터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주한 미국대사를 지내며 우리나라와 깊은 관계를 맺었다. 특히 지난 2015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조찬 강연회에서 참석했다 피습을 당해 얼굴에 큰 상처를 입기도 했다.
병원에서 퇴원한 리퍼트 전 대사는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같이 가자"며 굳건한 한미동맹은 물론 한국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 화제가 된 바 있다. 한국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 대표적 사례는 또 있다. 아들과 딸의 이름을 세준과 세희로 짓고 주한 미국대사를 그만둔 뒤에도 꾸준히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대사직에서 물러난 후 리퍼트 전 대사는 기업인으로서 길을 걸었다. 미국 보잉에서 해외대관 담당 부사장을,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고문 등을 지냈다. 최근까지는 구글의 유튜브에서 아시아태평양의 대 정부 정책 업무를 총괄하다 삼성의 제안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2020.10.28 photo@newspim.com |
◆교묘한 美 전방위 압박에 진위파악 중요
삼성의 리퍼트 전 대사의 영입은 급박하게 돌아기고 있는 글로벌 경영 환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미중 무역분쟁 격화, 이로 인한 자국우선주의가 강화되면서 우리 기업들을 향한 미국 정부의 압박이 점차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미국 정부가 각 기업들에게 요구한 반도체 핵심 자료 제출 요구가 대표적이다. 자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미국은 삼성에 현지 투자를 요구하는 한편 영업기밀이 담긴 생산·매출 자료를 제출하라며 다각도로 압박해 왔다. 당시 미국 출장길에 나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백악관과 미 의회 핵심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전폭적인 지원을 부탁하며 가교 역할을 자처했다.
삼성의 리퍼트 전 대사의 영입처럼 외교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진 기업들은 핵심 인사를 영입해 대응 태세를 갖추고 있다. 특히 자국기업의 성장을 우려해 M&A를 무산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어 미국 정부의 동향 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삼성전자도 조만간 대형 M&A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은 미·중 갈등 격화와 자국 우선주의 확산으로 국제 정치 상황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교묘한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핵심 인사 영입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