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주식

속보

더보기

[중국증시포인트(1/19)] 유동성 완화 시그널, 해외 대형 펀드 'CATL' 비중 확대, 저궤도 위성 양산, 14.5 고속철 건설 지속 등

기사입력 : 2022년01월19일 09:21

최종수정 : 2022년01월19일 09:31

유동성 완화 시그널 잇따라
JP모건 A주펀드, 'CATL' 비중 확대
저궤도 위성 양산 성공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주요 증권∙경제 전문 매체들은 19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볼 만한 소식으로 △ 부동산 정책 완화 △ JP모건 차이나 A주 펀드에 닝더스다이(寧德時代·300750) 비중 확대 △ 저궤도 위성 양산 성공 △ 14차 5개년 기간 철도 건설 지속 등을 꼽았다.

◆ 유동성 공급 신호 뚜렷, 부동산 활기 전망

[사진=바이두(百度)]

중국 당국, '부동산 시장 활성화 노력에 업계 기업의 판매·토지 매입·융자 등 일상 수준 회복 중' 자평. '안정적 성장' 위한 통화정책 지원 강조하면서 부동산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감 고조.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중국만과(萬科A·000002), 보리부동산(保利發展·600048), 금지그룹(金地集團·600383)

① 중국 중앙은행 자료,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부동산 대출 잔액 52조 2000억 위안 기록 발표.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하고, 9월 말 대비 증가폭 0.3%p 확대된 것. 4분기 부동산 신규 대출은 7734억 위안, 전년 동기 대비 2020억 위안 늘어난 것.

② 경제 성장세 둔화 방지 위해 '부동산 안정' 강조하며 부동산 규제책 완화 시그널 잇따라 방출 중. 류궈창(劉國强)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부행장, 18일 열린 기자회견서 "경기 하방 압력이 근본적으로 완화하기 전까지 안정을 위해 힘쓰고, 안정에 불리한 정책은 쓰지 않을 것"이라며 "통화정책 도구함을 더 크게 열어 신용대출이 붕괴하는 일은 없도록 할 것" 언급.

③ 중앙은행, 이달 17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85%로 기존 2.95%에서 0.1%포인트 인하. 2020년 4월 이후 1년 9개월 만.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 역시 22개월 만에 0.1%p 하향 조정. 동시에 MLF와 역레포 통해 2900억 위안 어치 유동성 공급.

④ 17일 금리 인하에 이어 이달 내 지급준비율 및 금리 인하 가능성도 점쳐지며 유동성 완화가 부동산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 수창(首創)증권, 경기 침체 흐름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안정 유지 신호를 계속해서 내보낼 것. 부동산 대출 정책은 이미 어느 정도 완화된 가운데 실제 효과가 점차 가시화 할 것 전망.

◆ 해외 제2대 A주 펀드, CATL 비중 확대

[사진=셔터스톡]

JP모건 산하 펀드 'China A-Share Opportunities', 지난해 12월 말 A주 펀드 포트폴리오 공개. 11월 말 대비 중국 대표 전기차 배터리 업체 닝더스다이 비중 60% 늘려.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닝더스다이(寧德時代·300750), 중국 핑안보험(中國平安·601318), 통위(通威股份·600438), 만화화학(萬華化學·600309)

① 모닝스타 자료, 12월 말 기준 JP모건 China A-Share Opportunities가 보유 중인 닝더스다이 주식은 451만 8100주. 11월 말 대비 60.86% 늘어난 것으로, 12월 말 기준 시가 총액 26억 5700만 위안, 해당 펀드 보유 주식 중 최대 규모.

② 중국핑안보험 비중 역시 40% 이상 확대. 12월 말 기준, 해당 펀드가 보유한 중국핑안보험 주식은 12억 700만 주. 전달 대비 42.84% 증가한 것. 통위·만화화학 비중도 확대, 단, 융기실리콘자재(隆基股份·601012) 비중은 소폭 축소.

③ 해외 펀드 중 닝더스다이 주식 최다 보유 펀드는 알리안츠 차이나 A주 펀드(Allianz China A Shares)임. 지난해 10월 보유 중이던 닝더스다이 주식 18% 이상 대폭 처분했으나 최근 다시 소량 매수에 나선 것으로 확인됨.

◆ 저궤도 위성 양산 성공

[사진=셔터스톡]

사상 최초로 저궤도 통신 위성 양산 실현. 위성인터넷 산업 밸류체인에 호재 될 것 전망.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한신신식기술(上海瀚訊·300762), 해격통신(海格通信·002465), 화이태지능제어(和而泰·002402), 화측네비게이션(華測導航·300627)

① 중국 민간 우주항공 기업 갤럭시스페이스銀河航天)가 연구개발한 저궤도 통신위성 6개 정식 출하. 중국 최초로 저궤도 통신위성 양산 성공한 것. 6개 위성, 이미 발사장 도착했으며 올해 1분기 내에 발사될 예정. 발사 성공 후 위성인터넷 상용화 위한 테스트 네트워크 구축하게 되는 것.

② 중신건투(中信建投)증권, 2021년은 중국 기가바이트급 통신망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해. 지난해 초고속 통신망 가입자 수 3000만 명 돌파한 데 이어 올해 2025년 목표 조기 달성할 것. 현재 기가바이트급 초고속 통신망 보급률 낮은 수준으로 시장 거대한 잠재력 보유 평가, 위성인터넷 산업 밸류체인 포진 기업들에 주목할 만.

◆ 14.5 기간 철도 건설 지속 추진

[사진=셔터스톡]

14차 5개년 계획 기간에도 철도 건설 지속 추진 전망. 장비 조달 수요 늘며 업계 기업 실적 상승에 도움 줄 것 분석.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AVIC선양항공(中航沈飛·600760), 중앙헬리콥터(中直股份·600038), 중항항공전자(中航機電·002013)

① 국무원, '14차 5개년 기간 현대 종합교통 운수체계 발전 계획' 발표. 2025년까지 인구 50만 이상 도시에 시속 250km급 고속철망 보급률 95% 이상 달하게 할 것 목표 제시.

② 은하(銀河)증권, 2021년 중앙경제공작(업무)회의서 '온중구진' 강조된 가운데, 전염병 상황 호전됨에 따라 철도운영 안정 되찾으며 장비 조달 수요 반등 예상. 성장 공간 큰 도시철도 산업 밸류체인에서 기회 모색할 것 추천.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 뉴스핌 기고 국제 정세가 혼란스럽고 국지적 충돌과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 글로벌화가 역풍을 맞고 있고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직면한 많은 국가들은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 이러한 시기에 중국은 실질적인 행동으로 세계에 안정성과 긍정적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 중국은 세계 경제를 안정적 발전으로 이끄는 강력하고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세계 2위 경제국, 1위 제조업 대국이자 2위 소비시장이다. 이런 조건하에서 중국 경제는 체제와 수요, 공급, 인재 등 네가지 부문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보이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4년 중국 경제는 5% 성장률을 달성했고 GDP 증가량은 1조 500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중간 경제국가의 연간 경제 총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2025년 복잡한 환경과 숱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안정 성장 추세를 유지하여, 1분기 5.4% 성장을 달성했고 1~4월 상품무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더욱 중요한 성과는 외부의 압박과 억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돌파를 촉진하는 수많은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잇따라 '딥시크(DeepSeek)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설정된 발전 목표를 달성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엔진이자 안전 장치 역할을 계속 해 나갈 충분한 자신감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 대사. 사진=중국 대사관 제공.  2025.05.24 chk@newspim.com 중국은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확실한 힘이다.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 국책으로, 보호주의의 역류가 거셀수록 중국은 더욱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높은 수준의 개방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국제 사회가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것이다. 중국은 150여 개 국가 및 지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며, 30개 국가 및 지역과 23개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2024년 중국의 평균 수입 관세율은 이미 7.3%로 떨어져 절대 다수 국가보다 낮으며, 43개 최빈국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얼마 전 성공적으로 개최된 중국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는 주변국들과 협력하여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것임을 다짐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동남아 순방과 러시아 방문이 커다란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여러 국가 지도자들이 중국을 방문했다. 갈수록 더 많은 국가들이 중국과의 동행은 바로 기회와의 동행이며, 중국에 대한 신뢰는 곧 미래에 대한 신뢰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은 국제 질서를 수호하는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현행 국제 질서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이 체계의 수혜자이자 지지자, 수호자이다. 중국은 국가 간의 평등 및 호혜 상생을 견지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지향하며, '국력의 크기'를 발언권의 기준으로 삼거나 '자국 우선'을 국제 규칙 위에 두는 것에 반대한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은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국이다. 중국에 대해 '국제 질서 도전자'라고 지목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이전의 규칙 제정자(rule-maker)가 파괴자로 변해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부당한 관세 전쟁에 직면한 중국은 단호한 대응으로 국가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 나섰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공정성과 보편적 세계 정의를 수호하는데도 앞장섰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런 대응은 국제 사회의 많은 나라들이 적극적 협상을 통해 경제∙무역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여지를 넓혀줬다. 중국은 줄곧 각국의 운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더욱 그러하다고 여겨왔다. 중한 수교 이후 33년 동안 양국 간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은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으며, 양국 외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최근 몇 년간 중한 양국의 국가 상황과 지역 정세, 세계 구도에 모두 큰 변화가 있었고, 중한 관계의 복잡성도 다소 커졌다. 양국은 경험과 교훈을 총정리해 재인식, 재출발해야 한다. 이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중한 우호 협력의 강화가 양국과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는 점이다. 한국 정국에 변화가 일어나고 국제 정세 변화의 충격도 마주한 가운데, 대다수의 한국 국민은 국가적 통합을 강화하고 경제와 민생을 발전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많은 지인들은 중한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이 대내외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현재 중한 관계는 지난 날을 토대로 앞날을 개척하는 중요한 단계에 놓여 있다. 중국의 대(对)한국 정책은 확실하며, 중국은 최대한의 성의와 노력으로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할 의향이 있다. 한국이 시대 물결과 국제 흐름을 파악하고 바른 방향을 견지하며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건전하고 안정적이며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길 희망한다. 글 =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대사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2025-05-24 13:27
사진
트럼프 "애플 25% 관세, 삼성에도"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중국 등에서 대부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 같은 조치는 삼성전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애플(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이것은 삼성과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에게도 해당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내 제조를 장려하려면 모든 기업에 공정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2025.05.24 kckim100@newspim.com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현재 유지 중인 50%의 관세를 그대로 두겠다는 입장도 거듭 확인했다. 그는 "EU와의 대화가 더디다"면서 "협상 타결을 기대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루스 소셜 계정을 통해 "나는 애플의 팀 쿡에게 오랫동안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말해왔다. 인도나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그렇지 않다면,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미국에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에 대해서도 "우리의 협상 과정은 아무런 진전이 없다"며 "2025년 6월 1일부터 EU산 제품에 일관 50%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EU는 미국을 무역에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과 다름없고, 협상하기 매우 어려운 상대"라면서 "그들은 강력한 무역 장벽과 부가가치세, 터무니없는 기업 벌금, 비금전적 무역 장벽, 환율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부당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미국과 연간 2억 5000만 달러 이상의 무역 적자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증시에 바로 영향을 미쳤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는 마감을 앞두고 2.92%까지 하락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모두 1.5% 이상 떨어졌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5.14포인트(0.93%) 내린 545.13으로 장을 마쳤다.    kckim100@newspim.com 2025-05-24 04:3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