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RNA 치료제 플랫폼 기업 올리패스는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핵산 해독 플랫폼 제작 용역' 사업의 수행 업체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 팬데믹 발생 시, 팬데믹 바이러스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할 수 있는 핵산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리패스는 자사가 보유한 OPNA 플랫폼 기술로 항바이러스 치료제 약물들을 설계 및 제작하고, 국방과학연구소는 이러한 치료제 약물들에 대한 항바이러스 약효 평가를 담당하게 된다.
![]() |
[로고=올리패스] |
올리패스의 CSO 김성천 박사는 "이번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보듯 일단 바이러스 팬데믹이 발생하면 희생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국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CTAP, ACTIV 및 OWS (Operation Warp Speed) 등 다양한 민관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신규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 결과, 코로나 치료제 및 백신을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향후 발생할 수도 있는 신종 바이러스 팬데믹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비가 절실하다"며 "우수한 세포투과력을 보유한 올리패스의 OPNA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면 팬데믹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에 최적화된 항바이러스 핵산 치료제를 신속하게 설계 및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핵산 해독 플랫폼 제작 용역 사업에 적극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백신과는 달리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신속 대응이 가능한 점도 핵산 치료제 방식의 장점"이라고 부연했다.
정신 올리패스 대표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우리 몸에 발현된 ACE2 단백질에 결합한 후 세포 안으로 들어가서 작용하는데 올리패스는 ACE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저해하는 핵산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을 조기 확보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치료제는 전임상 안전성 평가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바이러스 팬데믹에 신속 대응이 어렵다고 판단돼 추가 개발을 보류한 바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반면 바이러스를 직접 타깃하는 방식의 항바이러스 핵산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확보할 경우, 신종 바이러스 팬데믹에 대한 신속한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며 "지난 1년간 바이러스를 직접 타깃하는 핵산치료제 플랫폼 개발을 차분히 진행하여 왔으며, 신규 바이러스 팬데믹에 대한 신속 대응이 가능한 항바이러스 핵산치료제 플랫폼 개발을 통해 국가의 보건 주권 확보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zunii@newspim.com